우리 근대문학, 특히 1930년대 중반 이후 이른바 일제 말기 우리 문학의 다양한 풍경, 그 안에 잠복해 있는 욕망과 좌절 등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이 필요하고, ‘젠더’가 텍스트의 이념과 미학을 평가하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관점에서 나온 책이다. 우리 근대문학은 식민화에 대한 불안, 탈식민화를 위한 소극적, 적극적 움직임들, 좀 더 그럴듯한 근대성을 향한 열망과 그런 근대성의 사악함에 대한 반동 사이에서 끊임없이 유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젠더정치학은 그런 유동성을 가로지르면서 지속적인 힘을 발휘해 왔다. 하지만 그런 모습이 비단 식민지 시기 근대문학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라는 가상의 상을 보존하기 위해서, ‘타자’를 만들어내는 배제와 은폐의 담론들은 지금/여기 우리의 불안한 자화상이기도 하다.
Contents
제1부 탈식민 담론과 페미니즘 문학연구
탈근대·탈민족 담론과 페미니즘 문학연구
-경합과 교섭에 대한 비판적 읽기
옥시덴탈리즘의 심상지리와 여성성의 발명
-1930년대 후반 소설을 중심으로
식민 시대 민족의 자기 구성 방식과 여성
1930년대 소설과 식민지 무의식의 양상 (1)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향토의 발견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1930년대 소설과 식민지 무의식의 양상 (2)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향토와 조선적인 것의 발견
탈식민의 관점에서 본 지역문학
제2부 일제 말기 문학과 젠더정치학
일제 말기 여성작가들의 친일 담론 연구
일제 말기 남성작가들의 친일소설에 드러난여성성의 전유 양상
-이광수와 채만식의 친일소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