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프로이트 세미나
$19.55
SKU
978895465815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14
Pages/Weight/Size 128*188*22mm
ISBN 9788954658157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누구에게나 불안은 있다
인문학으로 읽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정신분석은 인간이 왜 고통을 필요로 하는가에 대한 해명이다. 우리는 어느 순간 신경증자가 되어야 더 나은 삶을 희구할 수 있고, 정신증자가 되어야만 더 나은 삶을 욕망할 수 있다.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는 프로이트를 두 가지 차원에서 겹쳐 읽는다. 첫째, 그야말로 프로이트식으로, 즉 프로이트의 분석틀을 통해 프로이트의 저작을 읽어낸다. 둘째, 데리다를 비롯한 현대철학의 새로운 사유의 길을 따라, 프로이트 텍스트에서 말해지지 않은 것, 생략된 것, 왜곡된 것이 프로이트 이론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본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1강 누구에게나 불안은 있다

신경증 | 불안 | 분석치료 | 프로이트 이론의 전개 | 쾌원리 |
나르시시즘의 발견 | 무의식의 의미화

2강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심리 모델 | 리비도 경제 | 자아와 이드 | 초자아

3강 너무 가까이도, 너무 멀리도

표상과 감능(感能) | 충동의 원리 | 반복강박과 죽음충동 | 억압의 새로운 의미 | 전치와 응축

4강 그때는 그런 줄 몰랐어요

거르기와 묶기 | 표상의 대체 | 리비도 철회 | 거울단계

5강 나를 지켜보는 또다른 나

꿈 이론 | 소망성취 | 퇴행 | 현실성 검사

6강 금지가 욕망을 만든다

가족 로맨스 | 거세불안과 남근선망 | 동일시 | 여자의 성 | 동성애

7강 이별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비애와 우울 | 나르시시즘적 우울 | 자기처벌 환상 | 합체

8강 우리는 왜 고통을 원하는가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 수치심 | 우울의 정치성 | 프로이트의 방법 | 조울

9강 나의 아픔은 당신의 불안

도착 | 아이가 매를 맞고 있어요 | 남성의 여성화 | 도덕적 마조히즘 |
마조히즘의 정치성 | 여성의 마조히즘

10강 그대는 내가 아는 그 사람이 아니다

사랑의 심리학 | 사랑의 환상 | 나르시시즘적 사랑 | 인식론적 전환 | 이론의 재구성

11강 억압된 것은 반드시 돌아온다

『모래인간』 | 기이함 | 프로이트의 요약 | 실명공포와 거세불안 | 올림피아

나오며

프로이트 주요 저작 목록 | 참고문헌 | 프로이트 연보
Author
강우성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미국문학과 해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문학, 비평이론, 비교문학, 영화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비평이론의 정치성과 주체의 문제에 깊은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공저)이 있다. 『어리석음』, 『이론 이후 삶』, 『팬데믹 패닉』, 『천하대혼돈』, 『치료받을 권리』를 우리말로 옮겼으며, 「해체론과 문학의 문제」, 「폭력과 법의 피안」, 「미지의 글쓰기」, 「잠재성의 심연」 등의 논문을 썼다.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미국문학과 해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문학, 비평이론, 비교문학, 영화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비평이론의 정치성과 주체의 문제에 깊은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불안은 우리를 삶으로 이끈다』,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공저)이 있다. 『어리석음』, 『이론 이후 삶』, 『팬데믹 패닉』, 『천하대혼돈』, 『치료받을 권리』를 우리말로 옮겼으며, 「해체론과 문학의 문제」, 「폭력과 법의 피안」, 「미지의 글쓰기」, 「잠재성의 심연」 등의 논문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