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쩌면 평생에 걸쳐 안주할 단 하나의 집을 찾기 위한 여정일지도 모른다. 힘겨운 대낮의 일상을 마치고 어둑해지는 길들을 지나서, 마침내 돌아가 곤한 몸을 누일 장소. 우리는 그곳을 ‘집’이라고 부른다. 집이 없는 자에게는 휴식이 없다. 주변을 온통 경계하느라 잠조차 편하게 잘 수가 없다. 정처 없이 떠도는 여행자라 할지라도, 그날 밤의 거처를 생각하며 움직이지 않으면 안 된다. 몸과 마음을 쉬게 할 곳. 든든한 식사와 따뜻한 차 한잔을 마실 수 있는 곳. 그리고 마침내 구원받을 수 있는 곳.
그렇다. 예컨대, 이런 손의 떨림을 둘 곳이 있어야 했다. 아직도 떨림이 남아 있는 이 손끝으로 돌아앉아 적어야 할 것이 내게도 있었다. 가끔은 식당의 냅킨에, 운전하다 손에 잡힌 휴지 쪽에 휘갈기듯 쓴 그것들을 둘 곳이 있어야 했다. 개집만한 집이라도 있었으면 했다. 드러눕지 못해도 괜찮으므로. (……) 내 글을 쓸 곳이 필요했다.(491쪽)
‘개집만한 집’이어도 좋다고 시인은 말한다. 평생 독일문학을 연구하며 수많은 책들을 번역하고 틈틈이 한국어와 독일어로 시를 써온, 서울대 독어독문학과 전영애 교수의 말이다. 물론 그 집은 물리적인 의미에서의 장소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닐 것이다. 아무리 편한 장소에 있어도 마음이 불편하다면 그곳은 집이 아니다. 나라가 아니며 세상이 아니다.
내 갈비뼈 위로 다시 수레바퀴들이 구르는 것 같았다. 불안했던 저 1980년대 내내 나는 자주, 수레바퀴가 내 가슴 위를 천천히 굴러가고 있는 듯한 통증을 거의 신체적으로 느꼈다. 정말 신체적으로. 떨친 지 오래된 그 고통이 다시 생생해진다. 그러나 어느덧 수레가 되어, 나는 또 무슨 짐승의 위를 굴러가고 있는지.(12쪽)
Contents
프롤로그 발트 해 연안의 부동산-에스토니아 문인의 집 _ 011
만남의 돌 문턱-트라클의 잘츠부르크 / 인스브루크 _ 029
유리병 편지의 부름-첼란의 부코비나 _ 047
시인의 마지막 발자국-첼란의 파리1 _ 065
삶의 집, 죽음의 집-첼란의 파리2 _ 083
물, 불, 시의, 언어의 끝-바하만의 로마 _ 103
떠도는 사람들의 거리-카프카의 프라하1 _ 125
겹겹의 문, 겹겹의 뜰-카프카의 프라하2 _ 145
해 뜨는 언덕 끝 집-쿤체의 도나우 강가 _ 163
시인, 시인의 집-쿤체의 초대 _ 179
잠시 서울에 켜진 독일 서정시인의 등불-라이너 쿤체 방한 기록 _ 193
두이노 성과 비가 -릴케의 아드리아 해 _ 221
바람 속, 장미 곁의 묘비명-릴케의 라론 계곡 _ 237
말테의 도시-릴케의 파리 _ 255
파리의 미아 -하이네의 파리 _ 277
노래 속에 지은 집-하이네의 로렐라이 언덕 _ 293
세상을 바꾸어보려 한 문인-브레히트의 베를린 _ 311
분단 독일의 가수시인-비어만의 베를린 _ 333
극렬했던 모더니즘 -벤의 마부르크 _ 351
맨머리로 뇌우 속에 섰던 시인-횔덜린의 네카 강변 _ 371
우정에 놓은 기념비, 환희의 송가 ‘기쁨에게’-쉴러의 마바하 _ 389
큰 시인의 집, 괴테 하우스-괴테의 바이마르 _ 409
큰 시인을 빚어낸 곳 -괴테의 프랑크푸르트 _ 431
길 위의 집, 카사 디 괴테-괴테의 로마 _ 453
길 끝의 집, 노시인의 마지막 사랑-괴테의 마리엔바트 _ 475
에필로그 여주시 강천면 걸은리-마침내 찾은 나의 거처 _ 491
Author
전영애
서울대를 졸업하고, 1996년부터 동 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고등연구원의 수석연구원, 뮌헨 대학교의 초빙교원을 겸임했다. 2011년 바이마르에서 ‘괴테금메달’을 수상했다. 『어두운 시대와 고통의 언어 - 파울 첼란의 시』 『괴테와 발라데』 『서·동 시집 연구』(공저) 『독일의 현대문학 - 분단과 통일의 성찰』 등 많은 저서를 펴냈고, 시에 관한 네 권의 연구서를 독일에서 펴내기도 했다. 『카프카, 나의 카프카』 『프란츠 카프카를 위한 무지개』 등의 시집을 국내와 독일에서 펴냈으며, 『괴테 시 전집』 『서·동 시집』 『데미안』 『변신·시골의사』 『나누어진 하늘』 『보리수의 밤』 등 60여 권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서울대를 졸업하고, 1996년부터 동 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고등연구원의 수석연구원, 뮌헨 대학교의 초빙교원을 겸임했다. 2011년 바이마르에서 ‘괴테금메달’을 수상했다. 『어두운 시대와 고통의 언어 - 파울 첼란의 시』 『괴테와 발라데』 『서·동 시집 연구』(공저) 『독일의 현대문학 - 분단과 통일의 성찰』 등 많은 저서를 펴냈고, 시에 관한 네 권의 연구서를 독일에서 펴내기도 했다. 『카프카, 나의 카프카』 『프란츠 카프카를 위한 무지개』 등의 시집을 국내와 독일에서 펴냈으며, 『괴테 시 전집』 『서·동 시집』 『데미안』 『변신·시골의사』 『나누어진 하늘』 『보리수의 밤』 등 60여 권의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