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성 혹은 현대적 합리성에 대한 주장은 실제적인 문화적 대립의 과정에서 제기되었다. 앞선 세대와 구분되는 새로운 사고, 야만인에 대한 ‘우리’의 정체성이 곧 현대성이나 합리성으로 양식화되었던 것이다. 현대성이란 문화적 대립을 배경으로 성립된 개념이며, 또한 그러한 현대성 주장이, 역사적 제국주의 등의 형태로, 문화적 대립을 낳았다. 우리는 문화적 대립의 역사적 과정과 그 구도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성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현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현대성의 규범적 기초라고 할 수 있는 합리성이 보편적으로 타당한 것인가라는 문제의 형태로, 주제화된다.
역사적인 문화적 대립관계의 구도에서 현대성과 합리성을 살펴보는 것은 반성적 사유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현대성과 합리성 개념은 다른 모든 개념들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으로 상대화될 수 있다.
Contents
Ⅰ. 서론: 문제로의 접근 11
1. 문화적 충돌상황으로서의 현대 13
2. 현대성의 보편적 합리성 문제 25
3. 연구방향과 구성 38
Ⅱ. 신화적 세계관과 현대의식 45
1. 신화적 및 현대적 세계이해 47
1) 총체적 인지와 실체적 세계의 혼융 47
2) 형식적 세계 개념과 현대성의 조건 55
2. 현대의식의 역사적 발생 65
1) 세계종교의 합리성 잠재력 65
2) 서구적 합리화와 시대의식 74
Ⅲ. 현대성 비판의 전통과 딜레마 87
1. 비판의 모티브 88
1) 분열에 대한 총체성 복원의 과제 90
2) 비판의 총체화 100
2. 주체중심적 이성의 딜레마 111
1) 근본주의적 이성비판의 패러독스 112
2) 현대적 비판규범의 토대상실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