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사회가 되면서 교육에서도 바탕을 다지는 교육과 우수성을 추구하는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런 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것이 바로 장학론이고 교육의 질을 책임지는 책임자인 교장직에 관한 것이 교장론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저자가 교장의 질 관리에 관해 썼던 글 20편을 모아 엮은 것이다.
Contents
저자 서문 / 5
1. 장학과 교육의 질 관리 / 15
제1장 장학에 대한 최근의 관심 / 15
1. 장학에 대한 관심 고조 / 16
2. 장학의 최근 경향 / 20
3. 우리나라 장학 개선의 방향 / 25
제2장 교육의 자율화와 장학의 발전 방향 / 30
1. 서론: 교육상황 / 30
1) 국제적 상황 / 30
2) 국내적 상황 / 31
2. 교육의 자율화와 장학 / 34
1) 자율 / 35
2) 교육과 자율 / 35
3) 장학과 자율 / 36
4) 교육의 자율화와 장학 / 37
3. 자율장학 / 38
1) 용어 / 38
2) 종류 / 38
3) 자율학교 운영 / 39
4) 동료 코치 / 41
4. 장학의 발전방향 / 42
5. 요약?결론 / 50
제3장 장학의 민주화와 전문화 / 55
1. 서론 / 55
2. 장학의 민주화 / 56
1) 개념적 양면성 / 56
2) 권한 위임 / 57
3) 장학에 대한 태도 변화 / 58
4) 참여적 의사결정 / 58
3. 장학의 전문화 / 61
1) 장학조직 수준별 전문화 / 61
2) 장학사 양성 프로그램에 의한 전문화 / 66
3) 기타 행정적?제도적 장치를 통한 전문화 / 69
4. 맺는 말 / 70
제4장 요청장학으로의 방법 전환 / 72
1. 장학적 현황 / 72
2. 요청장학 / 74
1) 개념 / 74
2) 사례 / 75
3) 장?단점 / 76
4) 요청장학의 전제 / 77
3. 요청장학을 지향하여 / 78
제5장 수업장학과 장학담당자의 역할 / 80
1. 수업장학의 강조 / 80
2. 장학담당자의 역할 / 83
제6장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내장학 / 87
1. 장학 본질로의 복귀 / 87
2. 교내장학계획 시 고려 사항 / 89
3. 교내장학 대안 / 92
1) 개인을 통한 장학방법 / 93
2) 집단을 통한 장학방법 / 95
3) 종합적 접근 / 97
4. 장학평가 / 98
제7장 교내장학의 영역과 방향 / 100
1. 교육의 위기 극복 / 100
2. 교장의 교내장학 책임 / 101
3. 교내장학의 영역과 방법 / 104
4. 교내장학의 발전방향 / 106
제8장 협동적 동료장학에 의한 교육의 질 향상 / 108
1. 서론 / 108
2. 동료장학을 해야 하는 이유 / 109
3. 협동적 동료장학 방법 / 112
1) 비공식적 관찰?협의 / 113
2) 초점관찰-자료제공 / 113
3) 소규모 현직연수위원회 / 113
4) 팀 티칭 / 114
5) 임상장학에 의한 동료장학 / 114
6) 동료 코치 / 122
7) 동료 연수회 / 123
4. 협동적 동료장학에 대한 찬?반론 / 123
5. 행정적?제도적 지원 / 124
6. 결론 / 125
제9장 현대장학의 기능과 과제 / 127
제10장 교육력 제고를 위한 현직연수 / 135
1. 왜 연수를 해야 하나? / 136
2. 현장연구?연수, 무엇이 문제인가? / 137
3. 현직연수,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 137
4. 현직연수,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 139
5. 교육력 제고는 교사의 자기성장 노력에 / 142
제11장 교육전문직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코스 개발 / 144
1. 교육전문직 양성교육의 필요 / 144
2. 교육전문직 자격과정 개요 / 146
1) 교육전문직 후보자 선발 / 146
2) 양성교육 / 147
3) 임용 / 147
4) 연수 / 148
3. 교육전문직 양성교육의 내용?방법 / 149
1) 장학사 양성 내용 / 149
2) 교육전문직 양성교육 방법 / 156
4. 결론 / 157
2. 학교장과 교육의 질 관리 / 159
제12장 한국 교육자치제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 / 161
1. 서론 / 161
2. 왜 교육자치를 해야 하나? / 162
3. 새 교육자치제의 개요 / 168
4. 새 교육자치제에 대한 논의 / 175
5. 한국 교육자치제 발전방향 / 180
제13장 외국의 교육자치제와 자율학교 / 187
1. 교육적 상황 / 187
2. 교육자치제 / 189
3. 외국의 교육자치제 / 194
1) 미국 / 194
2) 영국 / 197
3) 일본 / 199
4. 외국학교단위의 자치적 운영 / 200
5. 학교는 달라져야 한다. / 203
제14장 누구를 위한 교육자치? / 205
제15장 학교단위의 자율경영 / 209
1. 자치의 물결 / 209
2. 자율학교 경영 / 210
3. 과제 / 213
제16장 학교장의 직무 / 215
1. 학교장직의 중요성 / 215
2. 학교장 직무규정을 위한 제 접근 / 217
1) 법규적 접근 / 217
2) 역사적 접근 / 218
3) 교장의 실제활동 분석 / 219
4) 교장의 역할 정의와 기대에 의한 접근 / 223
5) 직무기술에 의한 접근 / 225
6) 교장의 과업영역과 기능 명료화에 의한 접근 / 229
7) 행정과정에 의한 접근 / 231
3. 교장에게 요구되는 자질 / 233
4. 교장의 직무규정을 위한 제 접근의 종합 / 248
제17장 학교장의 자질과 철학 / 255
1. 글머리에 / 255
2. 세상이 요동을 치며 변하고 있어요 / 258
3. 교육의 나침반은 교장의 손에 / 260
4. 학교장의 보람 / 261
5. 나를 찾아서 / 264
제18장 교육계획은 학교경영의 나침반 / 266
제19장 변환기의 교육행?재정 / 270
제20장 교육관계법 개정의 방향 / 274
1. 서론 / 274
1) 모순된 주장들 / 274
2) 법개정의 기본전제 또는 원칙 / 277
2. 개정의견 / 280
1) 행정조직 / 280
2) 교육법 / 282
3) 교육공무원법 / 291
4) 사립학교법 / 291
5)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 292
3. 결론 / 292
색인 / 295
Author
주삼환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 미국미네소타대학교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박사 후 서울시내 초등교사 약 17년, 충남대학교 교수 약 25년, 한국교육행정학회장으로 역임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객원교수, 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 미국미네소타대학교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박사 후 서울시내 초등교사 약 17년, 충남대학교 교수 약 25년, 한국교육행정학회장으로 역임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객원교수, 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