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교육 여건이 최악의 상태에 있다고 하지만 교육지도자의 지도력만 제대로 발휘되면 한국 교육은 아직 희망이 있고 승산이 있다고 본다. 현재 우리가 하고 있는 노력만이라도 올바른 방향에 쏟아 부을 수 있다면 우리는 성공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지도력이 교육지도자, 교육행정가의 몫이다.
이러한 생각에서 이 책의 제목을 ≪전환기의 교육행정과 학교경영≫이라고 하였다. 제목은 이렇게 붙였으나, 실제 책의 내용은 저자가 과거에, 1. 장학, 2. 학교경영, 3. 교육정책과 관련하여 썼던 글과 논문, 강의?강연 원고를 모아 놓은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한국학술정보(주)의 주삼환의 교육행정 및 장학 시리즈 중의 하나이다. 앞으로 이 시리즈 책을 아껴주시고 격려해 주시길 빈다.
Contents
책머리에 ― 5
제1부 교내장학의 활성화 15
1 학교장에 의한 교내수업장학 17
1. 서론 ― 17
2. 승부는 교육과 수업에서 ― 18
3. 학교장의 수업지도력 ― 22
4. 교내 수업장학의 활성화 ― 28
1) 교내장학의 여건조성/29
2) 교내수업장학의 제도화/31
5. 결론 ― 36
2 도전받는 교장직과 교내장학 39
1. 서론 ― 39
2. 도전받는 교장직 ― 42
3. 학교장의 강력한 지도력 ― 48
4. 교내장학 대안 ― 53
5. 결론 ― 59
3 학교장의 지도력과 校內?學 61
1. 서론 ― 61
1) 校長會議 성격 전환/61
2) 교장의 존재 이유/62
3) 상황의 변화/63
2. 새로운 지도력 ― 66
1) 강력한 민주적 지도력/66
2) 지도력의 근원과 전환적 지도력/68
3) 신념과 철학/72
4) 수업지도력/73
3. 교내장학 ― 74
1) 임상장학의 활성화/75
2) 동료장학의 권장과 강조/76
4. 결론 ― 78
4 교내장학의 제도화 80
1. 서론 ― 80
2. 교육에 대한 국제적?국내적 압력 ― 82
3. 장학의 변화 경향 ― 87
4. 교내장학의 활성화 ― 90
1) 교내장학 활성화를 위한 교육청의 지원/91
2) 교장의 교내장학지도력/93
3) 교내장학의 모형/93
4) 교내장학의 도입과정/101
5. 결론 ― 102
참고문헌 ― 104
5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현장교육연구 105
1. 서론 ― 105
2. 승부는 교수-학습의 질에서 ― 106
3.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수업장학 ― 109
4. 현장교육연구 지도 ― 115
1) 계량적 연구의 평가질문/119
2) 질적(정성) 연구의 평가질문/121
5. 교수-학습을 위한 장학의 현장교육연구의 과제 ― 124
1) 장학의 일반적 과제/124
2) 장학 연구의 과제/124
6. 종합?정리 ― 126
6 교육개혁을 위한 장학담당자의 역할 128
1. 서론 ― 128
2. 신한국 창조의 역사적 사명 ― 129
3. 신한국 창조의 교육개혁 ― 136
1) 교육개혁에의 압력/137
2) 교육개혁의 개념/140
3) 교육혁신의 과정/142
4) 외국의 최근 교육개혁 동향/151
5) 한국 교육 무엇을 개혁할 것인가?/156
4. 교육개혁을 위한 장학담당자의 역할 ― 163
1) 교육개혁 지도자/163
2) 변화촉진자(Change Facilitator)/166
3) 변화대리자(Change Agent)/169
4) 변화보조자(Change Aide)/171
5. 결론: 민족운명의 분수령에서 ― 172
제2부 민주적 학교경영 175
7 민주적 학교경영의 실제 177
1. 서론 ― 177
2. 상황변화와 교장 ― 178
3. 승부는 수업에서 ― 184
4. 학교장의 민주적 지도력 ― 185
5. 학교운영의 실제 ― 195
6. 校長의 보람 ― 198
8 새로운 세기를 지향한 학교경영 200
1. 서론 ― 200
2. 한국 교육 반세기의 공적-경이적인 양의 성공 ― 202
1) 문명퇴치운동과 방계교육제도의 개방/202
2) 교육기회의 확대에 의한 평등성 실현/203
3) 초등기초교육정책으로부터 중등?고등 교육정책으로의 이행/203
4) 초기의 중앙집권적 정책/204
5) 학교시설기준령 고수/204
6) 도덕과목의 교과목 설정/204
7) 초기의 사범교육/205
8) 사회?정치?경제?국가발전에의 교육기여/205
9) 민주교육의 실현/205
10) 해외로의 진출/206
3. 21세기 미래사회의 전망과 교육행정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들 ― 206
1) 21세기 사회의 특징-질적 요구/206
2) 교육행정에서 추구해야 할 가치들/210
4. 지식정보사회의 학교경영 ― 213
1) 질의 교육을 위한 학교경영/213
2) 개성존중교육을 위한 학교경영/217
3) 미래사회를 위한 학교경영의 재구조화/218
5. 요약?정리 ― 222
9 학교교육평가의 모형 탐색 223
1. 서론 ― 223
2. 학생평가에서 학교평가로 ― 223
3. 학교평가의 유형 ― 225
4. 학교평가의 영역 ― 227
5. 학교평가의 단위 ― 229
6. 학교평가의 개념적 모형 설정 ― 229
7. 학교평가의 절차와 방법 ― 231
8. 결론 및 제언 ― 234
10 학교환경의 문제와 개선 236
1. 교육환경의 중요성 ― 236
2. 건전한 교육환경을 위한 교사의 소임 ― 238
3. 학교환경의 문제와 개선방안 ― 240
4. 교육에 대한 근원적인 관심이 촉구돼야 ― 243
11 Situational Leadership 245
1. Introduction ― 245
2. Method ― 248
1) Population/248
2) Instrument/248
3) Statistical Treatment/256
3. Results ― 257
1) Korean Principals Situational Leadership Scores/257
2) Comparison to American Normed Data/258
3) Primary, Secondary and Developing Style/259
4) Differences among Subgroups/261
4. Discussion ― 269
References/272
Appendix Ⅰ. Korean Version of Principal’s LeadershipBehavior Analsysis by Sam Hwan Joo ― 274
AppendixⅡ. Educator’s Leader Behavior Analysis by KennethBlanchard, Ron Hamilton, and Drea Zigarmi ― 287
제3부 교육정책 301
12 교육자치제의 성패 303
1. 교육자치제란? ― 303
1) 교육자치제란 무엇인가?/304
2) 왜 교육자치를 해야 하는가?/305
2. 교육자치의 기본구조 ― 310
3. 교육자치와 학부모의 교육 참여 ― 314
13 지방교육자치와 장학의 발전과제 318
1. 왜 지방교육자치를 해야 하나? ― 319
2. 장학이란 무엇인가? ― 320
3. 지방교육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여건 조성 ― 321
4. 지방교육의 특수성을 살리기 위한 장학의 방향 ― 322
5. 우리나라 장학의 과제 ― 325
14 교원정책 수립의 방향 327
1. 서론 ― 327
2. 일반적인 정책 수립의 방향 ― 328
1) 교원정책의 중요성 인식/329
2) 정책의 방향감과 일관성 유지/330
3) 교원단체와 교원의 의견 수렴/331
3. 구체적인 교원정책의 방향 ― 332
1) 교원 우대 정책의 방향/332
2) 교사양성교육의 질 관리 정책의 방향/335
3) 교원 자격증의 수준 향상/336
4) 공개 채용과 시보제의 채택/336
5) 유지와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337
4. 최고의 우대, 최고의 자기 속박 ― 338
15 70년대 중등교육 평준화 정책 추진 340
1. 배경 ― 340
2.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도 ― 342
3. 고등학교 평준화 제도의 실시 ― 347
4. 대학 입시 제도의 보완 ― 354
5. 재수생 대책의 강구 ― 358
색 인 365
Author
주삼환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 미국미네소타대학교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박사 후 서울시내 초등교사 약 17년, 충남대학교 교수 약 25년, 한국교육행정학회장으로 역임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객원교수, 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서울교육대학교, 서울대학교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석사, 미국미네소타대학교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박사 후 서울시내 초등교사 약 17년, 충남대학교 교수 약 25년, 한국교육행정학회장으로 역임했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객원교수, 현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