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폭력

$24.15
SKU
97889534469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6/02/20
ISBN 9788953446960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미디어 폭력에 대해서 연구가 방대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국내에서는 우리 실정에 맞는 실증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 책은 기존에 이루어진 미디어 폭력에 대한 이론 및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더불어 미디어 폭력과 관련된 도덕적 해석 문제에 대한 최근의 실증적 검증 내용을 함께 구성하여 기술하고 있다.
Contents
제1부 미디어 폭력 연구의 이해
제1장 미디어 폭력의 정의 _ 19
1. 폭력에 대한 구성 개념상의 기준들 23
2. 내용분석적 연구에서의 광의와 협의의 정의 26
3. 개념 정의의 함의 30
4. 폭력, 공격, 반사회적 행위의 개념 32
제2장 미디어 폭력에 대한 이론적 접근 _ 37
1. 생물학적 접근의 이론들(biological theories) 39
1) 본능이론 39
2) 호르몬이론 41
2. 생태학적 접근의 이론들(ecological theories) 41
1) 합류이론 42
2) 사회화이론 43
3) 문화계발효과이론 45
3. 초기의 인지적 접근의 이론(cognitive theories) 47
1) 인지능력이론 48
2) 구성개념접근성이론 48
4. 상호작용적 접근의 이론들(interactionist theories) 49
1) 추동이론 50
2) 흥분전이이론 50
3) 정화이론 51
4) 사회학습이론 53
5) 인지적 신연합주의 이론 55
6) 사회적 지식틀 이론 58
7) 사회인지이론 61
제3장 미디어 폭력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_ 73
1. 효과연구의 흐름 75
2. 효과 유형별 개관 78
1) 생리적 효과 80
2) 감정적 효과 82
3) 인지적 효과 84
4) 태도적 효과 86
5) 행동적 효과 87
6) 결합 효과 91
3. 방법론적 논쟁과 유해성 효과에 대한 반론 93
제4장. 미디어 폭력에 대한 내용 분석적 연구 _ 99
1. 폭력지수 측정방법 101
1) Gerbner 폭력지수 101
2) 개별 프로그램 폭력지수 103
2. 미디어 폭력의 만연도와 형태 107
3. 프로그램 형식별 분석 110
4. 폭력에 포함된 인물의 프로필 117
5. 세계 텔레비전 폭력 패턴의 동질성 125
제5장. 미디어 폭력의 맥락적 요인에 관한 연구 _ 129
1. 맥락적 요인들의 효과 및 내용분석 131
1) 맥락적 요인들의 개별적 효과 132
2) 맥락 간 상호작용효과(Context-Context Interactions) 151
2. 맥락적 요인에 관한 향후 연구의 고려점 154
제2부 미디어 폭력과 어린이의 도덕성
제6장 TV의 폭력묘사맥락과 어린이의 도덕추론 _ 159
1. 문제제기 159
2. 미디어 폭력과 도덕성과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163
3. 미디어 폭력과 도덕성과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 166
4. 도덕추론 측정방법에 대한 논의 168
5. 관련변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 172
1) 연령과 도덕성 간의 관계 173
2) 성차 179
3) TV폭력 노출량 182
4) 폭력성향 184
6. 연구 방법 186
1) 연구 문제 및 가설 186
2) 본 연구의 실험방안 188
3) 피험자의 표집과 구성분포 189
4) 실험도구와 측정척도의 구성 191
5) 연구 절차 208
7. 연구 결과 및 논의 209
1) 폭력묘사맥락에 따른 도덕판단과 도덕추론의 차이 209
2) 폭력묘사맥락과 연령에 따른 도덕판단과 도덕추론의 차이 212
3) 폭력묘사맥락과 성별에 따른 도덕판단과 도덕추론의 차이 216
4) 폭력묘사맥락과 텔레비전 폭력 노출량에 따른 도덕판단과 도덕추론의 차이 220
5) 폭력묘사맥락과 폭력성향에 따른 도덕판단과 도덕추론의 차이 222
6) 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226
8. 결론 227
1) 결론 및 시사점 227
2)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232
제7장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TV 폭력에 대한 도덕적 해석 차이 _ 237
1. 문제제기 237
2. 이론적 배경 240
1) 가족커뮤니케이션양식과 TV폭력에 대한 도덕적 해석의 관계 240
2) 가정 내 폭력경험과 TV폭력에 대한 도덕적 해석의 관계 243
3) 부모의 미디어 폭력중재와 TV폭력에 대한 도덕적 해석의 관계 244
4) 폭력의 동기구분에 따른 도덕적 해석차이 246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248
1) 연구 문제 및 가설 248
2) 연구 방법 250
4. 분석결과 255
1) 부모와 자녀 간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따른 차이 검증 255
2) 가정 내 폭력경험에 따른 차이 258
3) 부모의 폭력에 대한 직접적 지도에 따른 차이 260
5. 결론 및 논의 263
참고문헌 _ 267
Author
최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