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도서는 첫째, 창의성의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일상적 창의성과 전문적 창의성의 개념 규정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암시적인 접근 방법으로 일반인들이 일상적 창의성과 전문적 창의성에 관해 어떤 구성 개념들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암묵적 구조를 밝혀 보고자 한다. 둘째, 일상적 창의성의 개념 규정과 구성 요인을 확립하여 한국적 상황에 적용 가능한 척도를 만들고자 한다. 셋째, 일상적 창의성이 한국적인 문화 상황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개별성-관계성 구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넷째,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Contents
Ⅰ.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Ⅱ. 이론적 배경 17
1. 창의성 17
1) 창의성의 개념 17
2) 창의성의 유형 20
2. 창의성 이론 30
1) 개인적 측면 30
2) 환경적 측면 33
3) 다원적 측면 34
4) 암시적 접근의 창의성 연구 40
3. 본 연구의 창의성 개념 모형 46
4. 개별성-관계성 49
1)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49
2) 개별성-관계성의 개념적 정의 56
3) 개별성과 관계성의 상호 독립성 59
4)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62
5. 심리?사회적 적응 65
1) 심리?사회적 적응의 개념 65
2)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사회적 적응 70
Ⅲ. 연구 문제 75
Ⅳ. 연구 1: 일상적 -전문적 창의성의 암묵 이론적 구조 확인 77
1. 일상적-전문적 창의성 문항 수집 및 적절성 평가 77
2. 일상적-전문적 창의성의 요인 구조 탐색 79
Ⅴ. 연구 2: 일상적 창의성 척도 개발 107
1. 일상적 창의성 특성 규정과 조작적 정의 107
2. 일상적 창의성 척도의 문항 제작 110
3. 예비검사 실시 110
4. 일상적 창의성 검사의 교차 타당화 116
5. 일상적 창의성 검사의 적극적 타당화 122
Ⅵ. 연구 3: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 -관계성 및 심리?사회적 적응과의 관계 133
1. 일상적 창의성과 개별성-관계성 133
2. 일상적 창의성과 심리?사회적 적응 138
Ⅶ. 논의 및 결론 145
참고문헌 151
부록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