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성에 대한 일련의 표상들은 대체로 극단화되어 있다. 히잡을 두른 여성이나 중산층의 전업주부로 묘사되며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체제의 결합 구조에 순응하는 이미지. 한편에서는 가족의 자본을 총동원하여 계급 재생산에 열을 올리는 신자유주의적 모성의 화신으로서의 ‘헬리콥터 맘’들 혹은 섹슈얼리티가 극대화된 성적 대상으로서의 이미지. 이와 같은 모습들이 아시아 여성들의 ‘순응성’을 극대화해 표상한다. 그런가 하면 이러한 구조적 억압과 고정관념을 깨고 세계 기구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진취적인 아시아 여성 엘리트의 모습이 미디어의 특집 코너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상들은 아시아 여성들의 현실을 잘 보여 주고 있는가? 아시아 여성은 오늘날 어떠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Contents
머리말
제1부 아시아 여성의 도전과 목소리
제1장 여자력(女子力)과 일본의 페미니즘: 생존 전략인가? 강요된 젠더 규범인가?
1. 여자력과 조시료쿠
2. 백래시와 생존 전략으로서의 여자력
3. 여자력이 대중적으로 수용된 배경과 긍정의 언어로 배치된 맥락
4. 여자력은 누구에게 무기가 되었는가?
5. 여자력을 둘러싼 해석 투쟁
6. 여자력과 백래시의 시대를 넘어
제2장 코로나19와 ‘박쥐탕 미녀’: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들의 이야기
1. 아시아 여성과 인종차별주의자/성차별주의자 소년의 세상
2. 코로나19와 ‘박쥐탕 미녀’: 감염병 보균자가 된 중국인 여성
3. 코로나19 시대의 자연-문화 이원론
4. 그들의 연대: “우리는 바이러스가 아니다!”
제3장 ‘군대의 꽃’과 ‘여전사’의 표상을 넘어: 이스라엘 여성의 군 복무와 의미화의 궤적
1. ‘원더 우먼’과 여전사 판타지
2. 성별화된 군대, 군사화된 몸
3. 페미니즘과 종교의 불편한 동거
4. 반란인가, 일탈인가?: 군대 가는 종교유대인 여성
5. 총을 들지 않는 여성들
6. 판타지 너머
제2부 일과 삶의 재조합과 긴장
제4장 능력주의의 배신과 젠더화된 불안: 한국 전문직 여성의 일 경험
1. 엇갈린 축복
2. 능력의 유통기한
3. 유리 천장(glass ceiling)부터 유리 낭떠러지(glass cliff)까지
4. 고독함과 네트워킹
5. 일터의 페미니즘을 향하여
제5장 치윗 매카: 태국 시장통에서 본 비공식 노동의 빛과 그림자
1. 길 위의 상인들
2. 불안정 노동자, 시장 아줌마에 대한 편견
3. 태국 여성의 지위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4. 절반 이상의 비공식 경제
5. 시장의 시간성을 통해 본 시장 노동의 유연성
6. 불안하지만 ‘꿈꿀 수 있는’ 시장 노동
7. 치윗 매카, 불안정과 유연함 속의 길 찾기
제3부 돌봄의 위기와 연쇄
제6장 K-할머니 서사의 이면과 그림자 돌봄의 위기
1. K-할머니 서사의 한계와 그림자 돌봄 개념의 필요성
2. K-할머니의 등장 맥락과 그림자 돌봄 경험
3. ‘할마’가 되어 가는 요즈음 K-할머니
4. K-할머니 신화 너머, 그림자 돌봄의 위기
제7장 국경을 넘는 여성 노동자와 정부의 역할: 말레이시아의 인도네시아 가사도우미
1. 가사와 돌봄 노동의 국제적 분업
2. 정부 간 양해각서와 순환이주 체제
3. 말레이시아 도시를 떠받치고 인도네시아 농촌을 먹여 살리다
4. 인도네시아 취업소개소와 정부: 가사노동 인력의 수급과 규제
5. 말레이시아 정부: 양해각서의 무력화와 ‘메이드 온라인’
6. 저평가된 경제 주체의 고단한 삶
제8장 국가와 가족의 경계를 넘는 필리피나 ‘내니’이자 ‘엄마’의 삶
1. ‘필리피나 내니’, 아이린의 이야기
2. 해외 이주노동자에게 기댄 국가와 가족
3.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두 번째 엄마’
4. 세계의 차이와 불평등이 반영된 가족들
제4부 여성 시민이 만드는 새로운 공론장
제9장 #카메라는나의무기: 이란 여성들의 반격 그리고 연대
1. 여성들의 반격이 시작되다
2. 이란 사회에서 히잡의 사회문화적 의미
3. 사이버 페미니즘 운동의 궤적들
4. 위협받는 일상 그리고 기록하는 여성들
5. 이란의 시민 불복종 운동은 계속된다
제10장 ‘정상성’을 넘어서 확장된 모성으로: 한국의 성소수자 엄마 활동가들
1. 성소수자부모모임
2. 활동가 대 연구자, 엄마 대 엄마로서의 만남
3. 깨달음의 충격과 정상성의 압력: 생애각본의 부재와 모성비난
4. ‘괜찮지 않아도 괜찮아’: 정상성에서의 탈피
5. 성과 가족의 재해석
6. ‘성소수자 엄마 활동가’: 인권활동을 통한 자아와 세계의 확장
7. 그럼에도, 죽음의 그림자와 함께 살아가기
제11장 재난 지역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후쿠시마 엄마들의 이야기
1. 재난과 여성
2. 여성의 관점에서 보는 동일본 대지진
3. 삶의 선이 끊어진 자리
4. 삶의 세계를 측정하고 확장하기
5. 삶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대의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