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쟁기 북한은 북베트남을 경제적으로 지원했을 뿐만 아니라 지원군도 파견할 정도로 긴밀한 관계였다. 따라서 베트남전쟁기 북한·북베트남 관계는 주목할 만한 중요한 주제다. 그러나 북한·북베트남과 관련된 자료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기에 양국 관계의 많은 부분이 아직도 베일에 가려 있으며, 이에 대한 충분한 해석과 연구가 부족하다. 또한 한국에서는 분단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베트남전쟁과 북한·북베트남의 관계를 아직도 냉전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채 바라보고 있다. 고정관념을 넘어 좀 더 객관적인 시각으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기 위하여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베트남전쟁의 전개 과정, 북한·북베트남 관계, 그리고 북한의 베트남전 참여 현황을 다각적인 방향에서 보여 주고 있으며, 이로써 현재 북한·베트남 관계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과 연구 자료
4. 책의 구성
제2장 북한·북베트남의 관계 형성(1950~1959)
1. 북한·북베트남의 연대의식
2. 북한·북베트남의 문화, 경제, 과학·기술 교류
제3장 북한·북베트남의 연대성 확보(1960~1967)
1. 북한·북베트남의 ‘경제 친선 경쟁 운동’
2. 베트남의 게릴라전 개시와 북한의 대남혁명노선 전환
3. 베트남전 확대와 북한의 국내정치 활용
4.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
제4장 북한·북베트남의 관계 이완(1968~1974)
1. 1968년 한반도 안보위기와 북한·북베트남 관계의 동요
2. 북한의 북베트남 경제지원 감소
3. 통일 방식에 대한 상호 견해차
4. 북한·북베트남 관계에서의 중국 변수
제5장 베트남전쟁 종결(1975)과 북한
1. 베트남 통일과 북한 정부의 양면적 반응
2. 북한의 통일정책 전환
3. 북한의 권력 강화
제6장 결론
1. 공동의 적 미국과 전쟁 이후 갈라진 “생사를 같이한” 형제 국가
2. 오늘날 북한·베트남 관계와 베트남전쟁의 유산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Author
도미엔
하노이 국립대학교 한국학과에서 학사학위(2007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에서 석사학위(2010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2019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방문학자를 지냈다(2020년 3월~2022년 2월). 현재 베트남 외교아카데미(Diplomatic Academy of Vietnam)에 재직 중이다. 베트남전쟁과 남·북한 관계 및 각국의 국내외 정치적 영향과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다. 2014년 제7회 세계한국학대회의 차세대 한국학자 논문상, 2019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박사학위논문상을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The 1975 Vietnam War’s End and Its Impacts on Korean Peninsula’s Politics”, 「베트남 학계의 남·북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베트남전쟁 시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1960년대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과 공군·심리전 전문가 파병-새로 발굴한 베트남자료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하노이 국립대학교 한국학과에서 학사학위(2007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에서 석사학위(2010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2019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방문학자를 지냈다(2020년 3월~2022년 2월). 현재 베트남 외교아카데미(Diplomatic Academy of Vietnam)에 재직 중이다. 베트남전쟁과 남·북한 관계 및 각국의 국내외 정치적 영향과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다. 2014년 제7회 세계한국학대회의 차세대 한국학자 논문상, 2019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의 박사학위논문상을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The 1975 Vietnam War’s End and Its Impacts on Korean Peninsula’s Politics”, 「베트남 학계의 남·북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베트남전쟁 시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1960년대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과 공군·심리전 전문가 파병-새로 발굴한 베트남자료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