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선택

한미동맹의 새로운 동반자, 러시아
$26.08
SKU
978895213000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0/15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88952130006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글로벌 패권의 대전환 시대!

한민족이 이번에도 미중 패권의 희생양이 될 것인가?
열강의 경쟁 판도를 제대로 읽고 상황을 주도할 것인가?


21세기, 글로벌 패권의 대전환이 일어나고 있는 이때, 중국과 미국의 패권경쟁의 틈바구니에서 한국은 새로운 출구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미중 갈등의 대격변기에 한국이 수동적인 희생양이 아니라 판도를 주도해가는 능동적 중개자로서, 새로운 판을 만들어가는 패권국으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러시아의 동반자관계로의 전략적 결단이 필요하다. 미중 경쟁이 한국에 양자 선택의 문제로 치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사이에 있는 중간국 간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러시아는 미국에도 중국에도 필요한 중간 강국이다. 중국에는 경제적으로, 미국에는 안보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도 중간국의 위상을 오히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때 가장 적합한 파트너가 바로 러시아다. 한국과 러시아 간의 협력은 글로벌 패권 판도가 바뀌는 격동기에 한국이 지혜롭고 진취적인 출구를 찾을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총론
1. 길이 열리면 시대가 열린다 (김태유)
2.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선택 (김태유)
3. 한러 협력은 한국의 미래 (이대식)

PART 1 한국의 지경학적 딜레마를 풀어갈 파트너, 러시아

1. 왜 한국이 러시아에 필요한가? (이상준)
2. 한국의 지전략적 딜레마? 러시아가 답이다! (신범식)
3. 교착 상태의 북핵 협상과 러시아 변수 (위성락)
4. 미중패권경쟁과 차이나 리스크에 대한 출구전략, 러시아 (최재덕)

PART 2 한국 미래산업의 자양분이 될 러시아의 에너지

1. 동북아시아와 러시아 간 에너지 가교가 될 천연가스 (박상철)
2. 더는 미룰 수 없는 천연가스 협력, 이렇게 해결하자 (김진수)
3. 러시아의 전기가 한국의 에너지 도약을 앞당긴다 (허성윤)

PART 3 한국에 물류와 기술 패권을 안겨줄 파트너, 러시아

1. 한러 해양협력, 제2의 장보고 시대 열린다 (이민규)
2. 윈윈 전략의 환상적인 케이스, 과학기술협력 (백철우)
3. 한러 정보통신산업 협력 방안 (이대호)
4. 한러 정보통신기술 기업 (신정우·홍아름)
5. 세계 수준의 러시아 방산기술, 한국도 활용할 수 있다 (장원준)

PART 4 한국과 인적·문화적 교류가 가능한 최적의 파트너, 러시아

1. 창의적인 러시아 인재를 활용하라 (이대식)
2. 다민족 국가 러시아 (김혜진)
3. 성공적인 한러 문화교류를 위하여 (이지연)
4. 한러 협력의 숨은 강자, 관광산업이 대세다 (유창석·최한나)
5. 벼랑 끝의 인구 문제, 한러 공생이 해법이다 (구윤모)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태유,이대식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경영공학 석사, 러시아 IMEMO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도 러시아 및 유라시아 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균열과 러시아 경제의 진로」, 「유라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협력과 대립가능성」,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한국과 체제전환 경험 EU국가와의 중견국 경제협력 모형」 등이 있고, 공저로 『한러 혁신기술 협력』, 공역서로 『러시아를 움직이는 힘』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경영공학 석사, 러시아 IMEMO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유라시아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에서도 러시아 및 유라시아 경제를 가르치고 있다. 논문으로 「자유주의 경제 질서의 균열과 러시아 경제의 진로」, 「유라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협력과 대립가능성」, 「푸틴 집권 4기 러시아의 동북아·한반도 정책과 한러 외교·경협의 과제」, 「한국과 체제전환 경험 EU국가와의 중견국 경제협력 모형」 등이 있고, 공저로 『한러 혁신기술 협력』, 공역서로 『러시아를 움직이는 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