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태국, 에티오피아 등 다양한 현장에서 아시아의 의료 체계 및 의료 실천 양상에 관한 민족지적 사례들을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아시아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책. 근대성 개념을 미리 정의하고 출발하기보다는 각각의 특수한 지역적 맥락 속에서 아시아의 근대성이 어떻게 경험되고 재현되는가를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새로운 의료 기술의 등장과 변화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인간’, ‘생명’, ‘공동체’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제기를 해 온 의료인류학의 경향을 충실히 따른다. 중국 농촌 여성의 자살, 생활비 마련을 위해 부모의 시신을 방치하여 연금을 부정하게 받은 일본인의 범죄 행위, 산업근대화 시기 구로 공단 여공의 모습을 그대로 이어받은 구로디지털단지의 여성 텔레마케터가 처한 열악한 노동 환경 등에 대한 민족지적 자료를 폭넓게 제시하고, 각각의 사례에서 근대성을 표방하는 국가가 개인에게 개입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근대성이 표면적으로 제시하는 진보적 가치와 그 영향 아래의 비참한 삶을 극명하게 대비시키면서 아시아의 근대성, 나아가 근대성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유도한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장: 근대성, 아시아, 그리고 의료인류학
1. 질문으로서의 근대성과 세 가지 역설
2. 질문으로서의 아시아와 재현의 문제
3. 방법으로서의 의료인류학
4. 아시아의 근대성을 바라보는 여섯 개의 창: 각 장의 개요
제2장 동아시아의학, 동아시아 근대성을 읽는 창
1. 들어가며: 광저우중의약대학으로 가는 길
2. 현지에서 걷기
3. 인류학, 미시적 현상에 체화된 것들에 대한 현지에서의 독해
4. 근대성과 동아시아의학의 존재 방식
5. 중국의 중의학과 한국의 한의학: 진료 차트, 표준화, 그리고 다양성
6. 일본의 캄포의학과 한국의 한의학: 처방 매뉴얼과 작방
7. 나오며: 동아시아 근대성에 대한 고찰
제3장 중국 근대화와 사회적 고통: 개혁시기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사례
1. 들어가며: 근대화와 사회적 고통
2. 중국 농촌의 여성 자살과 정신 보건 정책: 국제화, 의료화, 타자화
3. 봉건사상과 가정폭력의 희생자인 농촌 여성: 근대화와 전통의 발명
4. 정신 문명 건설 운동과 새로운 여성 주체의 형성: 소질 교육과 심리 건강 담론
5. 나오며: 중국 사회주의 근대화의 성격 변화와 사회적 고통의 문제
제4장 경계에서 낳다: 태국 샨 이주 여성의 출산 경험과 출생등록의 정치학
1. 들어가며: 근대성의 발현으로서 ‘국가/없음’과 관료제적 문서화
2. 합법과 불법 사이에서: 초국적 이주 노동과 샨 이주민의 복수적 정체성
3. 산전 검사와 샨 이주 여성의 행위 주체성
4. 공공 의료 체계와 국가의 대리자로서의 간호사
5. 출생등록증의 힘과 슬픔
6. 문턱에 놓인 삶
7. 나오며: 생명권력과 (비)시민권의 정치
제5장 유령 고령자 사건과 한여름 밤의 시취(屍臭): 일본의 근대화와 노인 복지 체제의 모순
1. 들어가며: 사라진 고령자들
2. 일본식 근대화의 전개 과정을 통해 본 노인 복지 체제의 성립 과정
3. ‘문제 가족’을 색출하려는 정부, 그리고 새로운 소문들
4. 나오며: 현대 일본 사회에서 ‘노인 문제’
제6장 공순이에서 콜순이로: 여성 노동자의 몸을 통해 본 한국의 근대
1. 들어가며: 근대의 기억, 그리고 여성 노동자
2. 구로 공단 노동자 생활 체험관: 수출되는 한국의 산업 근대화
3. 각성된 여공의 몸, ‘타이밍 중독’
4. 여공과 산업 재해: “너는 병들지 말고 건강히 일해”
5. 구로에서 G밸리까지: 그 변화의 숨은 의미
6. 고객과의 전쟁: ‘탈진’되고 ‘오염’된 여성 상담사의 몸
7. 관리자와의 전쟁: 통제된 디지털 여공의 몸
8. 동료 간의 전쟁: 짐승 탈을 쓴 ‘사람’에서 사람 탈을 쓴 ‘짐승’으로
9. 나오며: 여전히 절실한 디지털 여공의 삶
제7장 국제 보건의 시간: 에티오피아에서 상상된 아시아의 근대화
1. 들어가며: 국제 보건과 ‘시간’
2. 제국의 시간(1890년대-1974년): 일본과 한국전쟁
3. 혁명의 시간(1974-1991년): 중국과 강제마을화
4. 개발의 시간(1991년-현재): 한국의 가족계획과 새마을운동
5. 나오며: 국제 보건의 시간 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