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

$28.35
SKU
978895211237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8/15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88952112378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수교 24주년, 한-중 관계를 다시 보다

이 책은 국제정치전문가인 저자가 2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방대한 양의 문헌, 190여 명의 정책결정자, 외교관, 정책전문가, 학자 등에 대한 심층 인터뷰, 세 차례에 걸친 미국인 및 중국인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등을 녹여내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에서부터 2009년까지 60년 동안의 한-중 관계와 북-중 관계를 치밀하게 분석한 저술이다. 초강대국이자 전략 동맹인 미국과 부상국이자 전략적 동반자인 중국 사이에서 고심하는 현재 한국의 상황에서 학계뿐 아니라 정부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 그리고 동아시아와 한반도의 미래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반독자까지도 일독할 가치가 있는 주목해야 할 책이다.
Contents
서문

제1장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한반도의 미래
1. 중국의 '부상': 대전제의 평가
2.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의 불확실성
3. 한반도의 과거와 미래: 역사, 인식, 구조적 제약
4. 자료와 방법론에 대하여
5. 책의 구성

제1부 냉전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2장 냉전기의 한-중 관계

1. 적대관계에서 상호 간의 관심으로
2. 한-중 관계 변화의 배경과 동인(動因)

제3장 냉전기의 북-중 관계
1. 북-중 관계의 형성: 1950년대의 동학(動學)
2. 중-소 분쟁과 1960년대의 북-중 관계
3. 1970년대의 데탕트와 북-중 관계
4. 냉전기의 북-중 관계: 소결

제2부 전환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4장 전환기의 한-중 관계(I): 교류 확대의 정치경제

1. 한-중 간 상호 탐색기(1979-1983)
2. 관계 개선의 초기단계(1984-1987)
3. 관계 개선 초기의 한-중 간 경제교류
4. 한-중 관계에 대한 정치적 제약

제5장 전환기의 한-중 관계(II): 관계 회복의 정치경제
1. 도약기의 한-중 관계(1988-1990)
2. 관계 회복기의 한-중 관계(1991-1992)
3. 한-중 교역(1988-1992)
4. 한국의 대 중국 투자(1988-1992)
5. 한-중 관계 기반 구조의 발전
6. 한-중 관계 발전에 대한 외부적 제약

제6장 한-중 국교 정상화의 정치
1. 엘리트의 인식과 비공식 채널의 역할
2. 관료정치의 제(諸) 요인
3. '동해사업'(東海事業): 사실과 교훈

제7장 전환기의 북-중 관계
1. 전환기 북한 대외관계의 주요 변화
2. 북한의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논의
3. 북한의 대내적 환경 변화에 대한 평가
4. 한-중 관계의 개선과 북-중 관계의 변환
5. 소결

제3부 탈냉전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8장 수교 이후 탈냉전 시기의 한-중 관계

1. 탈냉전기 동아시아의 전략적 불확실성
2. 수교 이후의 한-중 관계: 보완, 경쟁 및 협력의 정치경제
3. 경제협력을 넘어서: 전략적 제휴 가능성의 모색

제9장 한-중 밀월기(蜜月期)의 종언: 통상 갈등의 정치경제
1. 마늘분쟁의 기원: 한국 내 정치역학
2. 중국의 보복조치: 정치경제적 배경
3. 분규 타결의 정치
4. 비교적 관점에서 본 한-중 마늘분쟁
5. 2005년 김치파동의 급습: '정상적 관계'의 정착?

제10장 한-중 역사분쟁과 '연성 갈등'의 도전
1. 한국 내 대 중국 인식의 변화
2. '동북공정': 한-중 간 역사관의 충돌
3. 한-중 관계에서의 '연성 갈등'과 전망

제11장 북-중 관계의 변환과 한반도의 국제정치
1. 북핵 문제와 북-중 관계
2. 중국의 대 북한 영향력 평가
3. 북-중 관계의 변환 가능성과 '정상적 관계'로의 전환

제4부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한국의 전략적 선택

제12장 중국의 부상과 한-미 관계: 인식과 정책의 변화

1.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대 중국 인식 변화
2. 대 중국 인식의 양면성과 모호성
3. 한-미 관계의 경색: 균열의 공간?

제13장 동맹과 동반자 사이에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은 무엇인가?
1. 중국의 미래에 대한 전망: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
2. 전략적 대안의 범위와 합리적 선택
3. 미-중 간의 수렴점(收斂點)과 한국의 선택
4. 21세기의 불확실성과 한국 외교

제14장 명민외교를 위한 제언
1. 명민외교의 개념과 내용
2. 뒤집어 보는 사례: 만약 명민외교가 이루어졌다면?
3. 책을 맺으며

부록
찾아보기
Author
정재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브라운대학교에서 역사학 석사학위를, 미시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과기대학교(HKUST) 조교수와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을 거쳤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와 중국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Central Control and Local Discretion in China(Oxford University Press, 2000), Between Ally and Partner: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United States(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중국의 중앙-지방관계론》(나남, 1999),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서울대출판부, 2011)가 있으며, 편저로는 Charting China’s Future(Rowman & Littlefield, 2006), China’s Local Administration(Routledge, 2010), 《중국의 강대국화》(길, 2006), 《중국연구방법론》(서울대출판부, 2010)이 대표적이다. China Quarterly에 실린 6편을 포함해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9년에는 서울대 학술연구상을 수상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브라운대학교에서 역사학 석사학위를, 미시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콩과기대학교(HKUST) 조교수와 브루킹스연구소 연구원을 거쳤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와 중국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Central Control and Local Discretion in China(Oxford University Press, 2000), Between Ally and Partner: Korea-China Relations and the United States(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중국의 중앙-지방관계론》(나남, 1999),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서울대출판부, 2011)가 있으며, 편저로는 Charting China’s Future(Rowman & Littlefield, 2006), China’s Local Administration(Routledge, 2010), 《중국의 강대국화》(길, 2006), 《중국연구방법론》(서울대출판부, 2010)이 대표적이다. China Quarterly에 실린 6편을 포함해 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9년에는 서울대 학술연구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