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최고의 명품 강의를 책으로 만난다!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를 엄선한 ‘서가명강(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의 스물다섯 번째 책이 출간됐다. 역사, 철학, 과학, 의학, 예술 등 각 분야 최고의 서울대 교수진들의 명강의를 책으로 옮긴 서가명강 시리즈는 독자들에게 지식의 확장과 배움의 기쁨을 선사하고 있다.
『서가명강25-기억하는 뇌, 공감하는 뇌』는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이인아 교수가 뇌가 학습하고 기억하는 근본적인 이유와 원리에 대해 쓴 책이다. 뇌는 우리 일상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 이런 질문을 던지며 우리 뇌의 ‘학습’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다. 학습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너무 익숙하지만, 사실 뇌인지과학에서의 ‘학습’은 뇌인지과학적으로 보았을 때는 놀랍기 그지없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뇌에서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를 통해 여러 기억이 총체적으로 기능하여 생존할 수 있게 되고, 각자 고유한 인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더해 뇌의 핵심 기능인 ‘기억’이란 키워드를 바탕으로 인간적인 것이란 무엇이며 AI와의 차별성은 무엇인지 뇌인지과학자의 시선으로 분석한다.
Contents
이 책을 읽기 전에 학문의 분류
주요 키워드
들어가는 글 뇌, 꽤 탁월한 자연지능 컴퓨터
1부 뇌는 학습한다, 고로 생존한다
뇌가 학습하는 이유
기억 없는 삶? 생존이 위험하다
학습은 기억하기 위해서만 할까?
2부 학습한 것은 기억이 된다
뇌의 학습, 전기신호와 화학신호의 마술
내 머릿속의 거대한 학습 시스템
뇌가 학습과 기억을 멈추면
3부 일생의 기록관 해마, 경험하고 기억하다
HM의 삶과 죽음, 그리고 해마
해마의 기억을 100퍼센트 신뢰하지 말라
내 머릿속의 지도
4부 뇌 속 기억의 비밀을 모두 알게 된다면?
영화를 통해 미리 보는 미래
뇌처럼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
완벽한 지능의 구현을 향해
나가는 글 뇌는 우리에게 완전한 기억을 제공한다
주석
Author
이인아
1970년생. 기억의 메커니즘으로 인간성을 해부하는 뇌인지과학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학과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1998년 졸업한 후 미국 유타대학에서 신경과학으로 2002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휴스턴에 있는 텍사스 의과대학 신경생물해부학과와 보스턴대학의 뇌-기억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6년부터 미국 아이오와대학의 심리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박사학위 연구 시절부터 뇌의 해마가 학습과 기억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해온 이 분야 세계적 전문가다. 특히 목표지향적 과제를 수행할 때, 해마를 비롯해 해마와 긴밀히 연결된 전전두피질과 해마 주변의 영역들의 인지적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방법론과 가상현실 행동실험 패러다임을 활용했다. 이에 대한 우수한 결과를 국제 유수의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뇌인지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들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국뇌신경과학회의 총무이사와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22년 한국뇌신경과학회로부터 연구의 우수성과 한국 뇌과학 커뮤니티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장진학술상을 받았다.
연구 활동 외에도 대중적 지식 전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지능, 다음 50년의 행복』(공저) 집필을 비롯해 네이버와 서울대 AI연구원이 추진하는 〈모두를 위한 AI〉 강연 시리즈 등 대중 강연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실무추진위원과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1970년생. 기억의 메커니즘으로 인간성을 해부하는 뇌인지과학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학과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1998년 졸업한 후 미국 유타대학에서 신경과학으로 2002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휴스턴에 있는 텍사스 의과대학 신경생물해부학과와 보스턴대학의 뇌-기억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6년부터 미국 아이오와대학의 심리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박사학위 연구 시절부터 뇌의 해마가 학습과 기억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해온 이 분야 세계적 전문가다. 특히 목표지향적 과제를 수행할 때, 해마를 비롯해 해마와 긴밀히 연결된 전전두피질과 해마 주변의 영역들의 인지적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방법론과 가상현실 행동실험 패러다임을 활용했다. 이에 대한 우수한 결과를 국제 유수의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뇌인지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들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국뇌신경과학회의 총무이사와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22년 한국뇌신경과학회로부터 연구의 우수성과 한국 뇌과학 커뮤니티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장진학술상을 받았다.
연구 활동 외에도 대중적 지식 전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지능, 다음 50년의 행복』(공저) 집필을 비롯해 네이버와 서울대 AI연구원이 추진하는 〈모두를 위한 AI〉 강연 시리즈 등 대중 강연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실무추진위원과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