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에 전쟁과 냉전, 탈냉전의 시기를 거치면서 역동적 역사를 보여주었던 동북아시아는 현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다자간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군사, 문화, 세계 질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세계 문명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19세기 이후 동북아시아는 서구 열강이 침략하고 제국주의와 군국주의, 식민지주의 등을 경험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거대한 변화와 개혁을 이루는 파고波高를 겪으면서 세계열강이 충돌하고 다양한 가치가 부딪히는 각축장이 되었다. 그러나 이 각축장은 전통과 서구적 가치관이 충돌되고 새로운 문화적 지층이 형성되는 창조적 역동의 공간이기도 했다.
이 책에서 학문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역사적 상처와 기억을 인문 고고학적, 인문해석학적으로 묻는 치유적 시각의 연구이다. 이 책은 역사, 문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영역과 시각으로 동북아의 근대 체험 공간과 문화공간을 살펴본다. 정신분석이 과거 무의식의 기억을 현재화할 때 치유가 일어난다고 보고 있듯이, 이것이 제대로 발굴되고 연구하여 현재화될 때 동북아시아에서 치유와 공존의 새로운 미래 지평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서는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부 〈전쟁 기억과 역사 유산〉에서는 각 국가마다 다르게 형성된 전쟁 기억을 문화유산을 활용해 공동의 인식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제2부 〈극동 만주 체험과 문학적 기억〉에서는 극동 만주 체험이 문학에 어떤 기억으로 자리하고 있는가를 모색했다. 제3부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문화유산〉에서는 도시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문화유산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확인한다.
Contents
발간사
1부 전쟁 기억과 역사 유산
청일 러일전쟁기 대련 여순 지역의 전쟁 유적_최봉룡
1. 머리말
2. 여순 대련 지역 전략 위치와 청일 러일전쟁 개관
3. 여순 대련 지역 청일전쟁 유적과 유물 및 기념시설
4. 러일전쟁 유물과 유적 및 기념시설
5. 동북아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전쟁 유적 활용 방안
6. 맺음말
만주사변 이후 중국 요녕성遼寧省 지역 제국주의 전쟁 유적_김주용
- 기억의 공간적 확장
1. 머리말
2. 침략과 학살의 기억
3. 심판과 화해
4. 기억의 공간적 확장
5. 맺음말
역사의 재인식과 재현의 점이지대_신현선
- 글렌데일과 나고야의 ‘평화의 소녀상’
1. 머리말
2. 글렌데일 소녀상과 표현의 자유 논쟁
3. 아이치 트리엔날레 ‘표현의 부자유전’과 혐오의 정치
4. 소녀상을 둘러싼 기억공간의 확장과 연대
5. 맺음말
2부 극동 만주 체험과 문학적 기억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만주 체험과 북방 의식 연구_강연호
- 백석, 이용악, 유치환의 북방시편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향의 상실과 낙백의 개인
3. 변경의 삶과 정서적 연대
4. 추상화된 낭만과 지사 정신의 굴절
5. 결론
해방기 염상섭 문학의 ‘안동安東 기억’의 지형도_천춘화
1. 시작하며
2. ‘안동 기억’의 두 재현, ?모략? 과 ?혼란?
3. 두 차례의 월경과 ‘안동 기억’의 재소환
4. 안동 시절의 염상섭, 중립적 또는 이중적
5. 맺으며
러시아의 극동 지역 인식과 민속학의 문학적 발현_문준일
1. 머리말
2. 러시아의 ‘동양’ 극동 지역
3. ??데르수 우잘라???와 소수 민족의 세계관
4. 맺음말
3부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문화유산
도심재생에 있어서 ‘근대문화유산’ 활용에 관한 고찰_김선희
- 인천과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개항 도시 요코하마
3. 개항 도시 인천
4. 나오며
중국 동북 지역 사회주의 유산의 지속과 단절_정규식
-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거버넌스의 변화
1. 서론
2. 중국 동북 지역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기층 사회관리 체계의 변화
3. 중국 동북 지역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현황과 과제
4. 결론
서울올림픽과 도시 개조의 유산_박해남
- 인정경관과 낙인경관의 탄생
1. 서론
2. 서울올림픽과 도시 개조
3. 올림픽 준비와 인정경관 만들기
4. 신도시와 인정경관의 확산
5. 임대 아파트의 등장과 낙인경관화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