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32.20
SKU
978894994944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02/09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49949444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연등회에서 찾은 불교의 낙화법(落火法)

우리나라의 연등회가 세계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2020년). 이것은 세계가 연등회를 보존하고 추구해야 할 가치가 있는 무형문화로 인정한 것이며, 연등회보존위원회의 연구와 활동에 의한 결과이다.

저자가 새로이 발굴한 ‘낙화법(落火法)’은 연등회의 연장선에서 출발한다. 이제까지 ‘연등(燃燈)’에 관한 연구에서 등(燈)과 화(火) 그리고 관등(觀燈)과 관화(觀火)의 개념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는 연등을 밝히는 재료와 재료의 변화·상징성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신라의 수구다라니 신앙, 고려의 무능승도량 개설과 연등회의 수용과정을 염두에 두고 『고려사』를 분석하면, 등과 화, 관등과 관화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상징성은 약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원연등회(또는 봉은행향)는 연등을 보는 관등에서 시작하여 불[火]을 보는 관화에서 끝을 맺는 의례이다. 즉 연등회는 불빛과 광명으로 왕실과 백성의 풍요를 빌고, 삿된 재난과 재앙을 막아 물리치기를 기원하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Contents
일러두기

Ⅰ.소의경전이 있는 낙화법(落火法)

Ⅱ.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활용
[1] 낙화법의 정의 및 불교의례 위치
[2] 불교의례 낙화법의 기원과 형성과정
1. 시작하는 말
2. 낙화법(落火法) 소의경전과 관등(觀燈)의 종류
3. 등(燈)과 화(火)의 상징 의미
4. 연등회의 변화와 낙화법의 등장
5. 낙화숯봉지 만들기
6. 맺음말
[3] 낙화법의 수구다라니 신앙과 의례 구성
1. 들어가는 말
2. 낙화(落火)의 기원
3. 낙화와 수구다라니 신앙
4. 낙화법의 구성과 절차
5. 나가는 말
[4] 수기(手記) 낙화법과 ?오대진언집(五大眞言集)?
1. ?오대진언집? 해설 및 수기(手記) 낙화법
2. ?오대진언집? 판본(板本) 현황
3. 보조자료
[5] 사진 자료 및 도판
1.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묵서 내용
2.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의 수기 낙화법
3. 국립무형유산원 소장자료
4. 무라야마 지준(村山 智順) ?朝鮮の鄕土娛樂?의 연날리기
5. 득중정어사도(得中亭御射圖)
[6] 낙화법의 의례절차
1. 예비의식
2. 본의식
3. 소재의식
4. 축원
5. 회향

Ⅲ.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번역 및 문헌자료
[1] 대수구대명왕대다라니(大隨求大明王大陀羅尼)의 뜻
1. 근본다라니(根本陀羅尼) 수구즉득다라니(隨求卽得陀羅尼)의 뜻
2. 소진언(小眞言)
[2] 낙화법 관련 사료
1. 중국 자료
2. 고려시대 자료
3. 조선시대 자료
참고문헌
1. 사료 및 경전류
2. 단행본 및 논문
3. 데이터베이스 자료

부록_ 영평사 소장본 ?오대진언집(五大眞言集)?
(영인본_우철)
Author
이선이,강향숙
강원도에서 태어나고, 해인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봉녕사승가대학을 졸업하였다.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호텔경영학과(MBA, 경영학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석사(계율) 및 박사(한국화엄:균여) 학위 취득,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과정(금속공예) 수료, 동 대학원 미술학과에서 박사과정(불교미술) 수료하였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의제위원회 의제실무의원, 교육원 교육아사리, 의례실무위원회 의례실무위원,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이다.

저서로는 『초기화엄사상사』(불교시대사, 2006), 『조상경』-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운주사, 2007),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양사재, 2020,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2020)) 등이 있다.
강원도에서 태어나고, 해인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봉녕사승가대학을 졸업하였다. 세종대학교 경영대학원 호텔경영학과(MBA, 경영학석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석사(계율) 및 박사(한국화엄:균여) 학위 취득, 동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과정(금속공예) 수료, 동 대학원 미술학과에서 박사과정(불교미술) 수료하였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의제위원회 의제실무의원, 교육원 교육아사리, 의례실무위원회 의례실무위원,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위원이다.

저서로는 『초기화엄사상사』(불교시대사, 2006), 『조상경』-불복장의 절차와 그 속에 담긴 사상(운주사, 2007), 고려 옹기와 청자에 음식을 담다(양사재, 2020,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