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통신사외교와 동아시아

$28.08
SKU
978894994834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1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4994834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이 책은 최근 필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통신사’(通信使)에 대해 그동안 발표했던 논문에 새로운 원고를 더하여 정리해 본 것이다. 사실 통신사라고 하면, 임란 이후 조선과 일본의 우호 내지는 평화를 상징하는 핵심적인 용어로 아주 익숙한 단어이다. 또 그 역할에 대해서도 통신사 일행의 긴 여정 속에서 일본의 문사 및 지식인들과 나눈 교류 내용들이 이미 많이 소개되어 왔다. 따라서 주제 자체만으로 보면 굳이 새로울 것이 없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는 통신사 자체보다도 ‘통신사외교’의 주어를 찾고자 노력했다고 할 수 있다. 조일 양국은 통신사를 통해서이긴 하지만 양국의 정상이 상호간에 의사를 직접 교환하고 확인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정상외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절차상 일본측의 통신사 요청이 먼저 전제되기는 했지만, 일단 일본측이 요청을 해오면 조일 양국의 실무자들간에 치열한 사전 교섭과 중앙정부인 조정의 논의를 거쳐 국왕이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에 통신사들은 조선을 떠나기 전 장차 일본에서 겪을 일에 대해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하더라도, 일단 파견된 이후에는 대체적으로 별 무리없이 원만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던 것이다.
Contents
책 머리에

서장 통신사, 어떻게 볼 것인가?

제1부 임진왜란 이후 회답겸쇄환사와 조일 국교 재개

제Ⅰ장 임란 직후 선조대 회답겸쇄환사(1607년) 파견과 대일본전략
머리말
1. 선조의 국정 운영과 ‘회답겸쇄환사’ 명칭으로 본 전후의 대일본전략
2. 선조의 비망기와 대일본통교 축소 재편
3. 1607년 회답겸쇄환사 파견과 전후처리
맺음말

제Ⅱ장 광해군대 회답겸쇄환사(1617년) 파견과 적례외교의 실태
머리말
1. 1608년 왜사의 국상(國喪) 진향 거절과 선조대의 전략 계승
2. 1617년의 회답겸쇄환사 파견과 광해군의 대일본외교
1) 일본측의 ‘오사카(大坂) 평정 축하’ 명분과 정탐외교
2) 회답겸쇄환사 명칭과 적례외교 보류
3. 회답겸쇄환사 외교와 대막부 현안 제기
맺음말

제2부 17세기 중반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과 의외로 빈번했던 통신사외교

제Ⅲ장 인조 즉위초 후금(後金) 대비책과 회답겸쇄환사(1624년) 파견
머리말
1. 인조 즉위초 후금(後金)의 위협 고조와 병력 이동 논쟁
2. 1623년 도쿠가와 막부의 ‘쇼군(家光) 습직 축하’ 요청과 조선의 ‘권의지책’
3. 1624년 회답겸쇄환사의 국서 전달과 ‘린호’(隣好)의 의미
1) 개작이전 인조의 회답국서와 대일본인식
2) 조선의 ‘자발적’ 통신사 파견으로 기재된 쇼군 답서
4. 회답겸쇄환사의 일본 정보와 남쪽 병력의 서변(西邊) 이동 결정
1) 회답겸쇄환사의 일본 정보와 조선의 막부권력 인식
2) 후금 대비책으로 남쪽 병력의 ‘서변’ 이동 추진
맺음말

제Ⅳ장 명?청(후금) 패권 경쟁과 병자통신사(1636년) 파견
머리말
1. ‘권시지책’으로서의 통신사외교
2. 정묘호란 이후 후금과 명 사이에서
3. 일본측의 사절 요청과 병자통신사 파견
1) 국서개작사건(1635년) 이후 도쿠가와 막부에 대한 인식
2) 일본측의 ‘태평 축하’사절 요청과 병자통신사(1636년) 파견
4. 인조대의 국정 운영과 통신사외교 비용
5. 의례의 변경과 국서 왕복
1) 국서개작사건 이후 교린의례의 변경
2) ‘조선국왕’과 ‘일본국대군’의 국서 왕복
맺음말

제Ⅴ장 병자호란 이후 조?청 관계 변화와 계미통신사(1643년) 파견, 그리고 ‘무왜’
머리말
1. 병자호란과 조?청관계의 변화
2. 청?일간 통교 시도와 일본측 동향에 대한 조선의 대응
3. 1642년 일본측의 통신사 구두 요청과 외교의례 변경 시도
4. 1643년 계미통신사 파견과 국서의 왕복
1) 인조 국서의 ‘와카기미’ 탄생 축하
2) 이에미츠(家光) 답서에 조선의 ‘자발적’ 통신사 파견 부각
5. 인조대의 ‘무왜(撫倭)’와 통신사외교
맺음말

제Ⅵ장 명?청 교체 이후 을미통신사(1655년) 파견과 적례외교의 정착
머리말
1. 효종 즉위 이후 조?청관계와 대일본 인식
1) 조?청관계와 군비 증강
2) 대일본통교 방침으로서의 ‘무왜’와 도쿠가와
막부정권에 대한 인식
2. 1653년 ‘쇼군(家綱) 습직’ 축하 사절 요청과 전례(前例)의 계승
3. 일본측의 신례 요구와 조일 교섭
1) 쓰시마번의 ‘예조참판’ 앞 통신사 요청 서계와 ‘위식’(違式)의 수용
2) 다이유인묘(大猷院廟) 관련 요구와 절목강정
4. 1655년 을미통신사 파견과 양국 국서에 반영된 적례외교의 실태
1) 을미통신사의 파견
2) 효종 국서의 ‘쇼군 습직 축하’와 교린의 간소화
3) 쇼군 이에츠나(家綱) 답서에 세습권력 부각
5. 효종대의 통신사외교와 직교 루트
맺음말

종장

부록 _ 국서(國書)의 형식과 전달로 본 ‘통신사외교’
머리말
1. ‘왕복문서’로서의 국서
2. 통신사가 傳命儀에서 막부 쇼군에게 ‘직접’ 전달


맺음말

참고문헌
Author
이훈
현재 한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역임
한일관계사학회 회장 역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일본 츠쿠바(筑波)대학 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졸업(문학박사)
전공은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로 ‘표류민’과 ‘외교문서’를 소재로 다수의 논저 발표


저서

??조선후기 표류민과 한일관계??(국학자료원, 2000)
??대마도, 역사를 따라 걷다??(역사공간, 2005)
??외교문서로 본 조선과 일본의 의사소통??(경인문화사, 2011)
??朝鮮後期漂流民と日朝?係??(日本法政大學出版局, 2008, 池內敏 ?).


역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번역, 역사공간, 2008).
현재 한림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연구교수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역임
한일관계사학회 회장 역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졸업
일본 츠쿠바(筑波)대학 대학원 역사인류학연구과 졸업(문학박사)
전공은 조선시대 한일관계사로 ‘표류민’과 ‘외교문서’를 소재로 다수의 논저 발표


저서

??조선후기 표류민과 한일관계??(국학자료원, 2000)
??대마도, 역사를 따라 걷다??(역사공간, 2005)
??외교문서로 본 조선과 일본의 의사소통??(경인문화사, 2011)
??朝鮮後期漂流民と日朝?係??(日本法政大學出版局, 2008, 池內敏 ?).


역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번역, 역사공간,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