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객관성과 진리,
그 철학적 주장을 음미하다
라투르, 굿먼 등, 10여 명 철학자의 견해를 분석해 과학철학의 항구적 주제를 본격 논의한 책
비대면 사회로의 빠른 전환,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로 인해, 과학철학이 학술계를 넘어 일반 대중 사이로 나와 인지도를 얻고 있다. 이런 과학철학의 항구적 주제가 바로 객관성과 진리다. 인간은 여러 가지 활동과 관념을 추구하며, 그 가운데 ‘객관성(objectivity)’과 ‘진리(truth)’를 향한 추구는 꽤 의미심장한 일이며 이의 추구는 과학 활동에서 두드러진다. 이 책은 과학적 객관성과 과학적 진리의 성격과 의미를 구성적, 다원적, 국소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최근에 과학학은 물론 사회과학 등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라투르의 입장을 포함하여, 학술계에서 주목받아 온 그리고 시의성 있는 여러 철학적 주장을 음미한다. 노직, 갤리슨, 반 프라센, 라투르, 울거, 아이디, 굿먼, 퍼트넘, 라우든, 프랭클린, 홀튼, 쿤, 해킹, 키처, 러드윅 등의 입장이, 객관성과 진리에 관한 철학적 분석의 논의 대상이다.
책의 이러한 시도는 과학철학, 분석철학, 과학학 이외에 사회과학과 사회과학철학 등에도 긍정적 함의를 제공하고, 연구자는 물론 과학철학을 보다 깊이 이해하기를 원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의미 있는 시각을 전할 것이다. ‘객관성’은 신뢰할 수 있는 경험적 사실이 확립되었을 때 그 경험적 사실이 갖게 되는 성격을 의미한다. ‘진리’는 한 이론적(또는 가설적) 주장과 경험적 사실 사이의 일치라는 사건이 지니는 성격을 의미한다.
이 책은 이 두 성격을 둘러싼 논의를 ‘구성적(constructive)’, ‘다원적(pluralistic)’, ‘국소적(local)’ 관점에서 탐구한다. 구성적 관점에 따르면, 과학적 객관성은 이론과 같은 관념 그리고 도구와 같은 물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과학적 객관성을 갖는 경험적 사실은 경우에 따라 이론과의 일치 여부를 위해 대조될 수 있다. 다원적 관점에 따르면, 객관성과 진리는 서로 다른 도구 및 이론의 영향력 속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성립될 수 있는 성격을 지닌다. 국소적 관점에 따르면, 객관성과 진리는 과학의 제한된 영역에서, 특정 시기에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책은 객관성이 일어날 수 있는 상황과, 객관성을 지니는 사실의 산출이 실험실이라는 공간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논의하며, 객관성 확보와 관련된 과학의 물질적 상황(실험실과 실험 도구)에 대해 다룬다. 실험하기 가운데 발생할 수 있는 자료의 선별 과정으로 인해 객관성의 수립 여부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에 관해 검토하면서, 진리의 수립과 관련해 경험을 두 가지 종류로 나눌 때 발생할 수 있는 미묘한 국면에 관해 논의한다. 또한 진리 대응설과 관련하여, 비실재론이 갖는 철학적 함축도 다룬다. 퍼트넘의 내재적 실재론과 굿먼의 비실재론을 검토하고, 쿤의 진리에 관한 입장과 관련된 토의도 한다. 객관성과 진리를 확보해 내는 과정을 패러다임과 과학의 창의성의 관점에서 논의하며, 과학적 합리성의 한 대안적 모형에 관해서도 검토한다.
Contents
1장 도입
2장 불변으로서의 객관성
1. 들어가는 말
2. 객관성의 네 가지 지표
3. 다양한 각도에서의 접근 가능성
4. 간주관적 동의
5. 독립
6. 변환 속 불변
7. 결론
3장 사실의 산출과 실험실 공간
1. 수치와 도표: 도구의 역할로서 ‘기록하기’
2. 논리 실증주의와 라투르와 울거의 구성주의
3. 독립적 사실과 구성된 사실의 대조
4. 동적 안정성
5. 발견을 기다리던 대상에서 논쟁 확정 이후에만 실재하는 대상으로
6. 도구와 실험 결과의 국소성
7. 반실증주의적이고 반상대주의적인 구성
8. 맺음말
4장 기술화된 과학의 물질성
1. 도입
2. 테크노사이언스의 등장과 과학의 기술 의존성
3. 텍스트에서 실험실로: 기록하기, 시각적 표현, 과학의 물질성
4. 테크노사이언스에 대한 부분적 오해: 과학과 기술의 동일성이 아니라 유사화
5. 테크노사이언스와 물질성의 진전: 도구가 지니는 영향력 판도의 확장
6. 결론: 기술에 대한 과학 우위 관점의 부분적 수정
5장 자료 선별과 객관성
1. 선별, 객관성, 윤리
2. 전통적 과학관과 과학 연구 부정행위
3. 자료의 임의적 선별과 이유 있는 취사선택
4. 전하의 양자화: 물질이 하전될 때 전자의 전하의 정수 배로만 하전
5. 이론 정당화를 위한 실험: 개별 전하를 분리하는 실험 기법 수립
6. 실험의 이론 편향성: 이론에 맞는 실험값만 선별?
7. 여러 가지 오차 가능성 배제 시도?
8. 출간되지 않은 문서의 중요성: 실험 노트의 문제
9. 객관성을 해치지 않았으되 연구 윤리 위배로 귀착된 자료 선별
10. 결론
6장 경험적 귀결과 경험적 증거
1. 도입: 과학적 인식 속에 나타나는 함축의 기능과 그 한계
2. 상대주의, 이론 미결정성, 경험적 동등성
3. 함축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경험적 동등성의 맹점: 경험적 귀결과 경험적 증거의 비동일성
4. 경험적 귀결은 아니지만 증거적 결과를 갖는 경우
5. 경험적 귀결이나 증거가 되지 않는 경우
6. 의미론적 관계와 인식론적 관계 사이의 비환원성
7. 결론
7장 비실재론의 의미
1. 세계의 복수성과 굿먼의 비실재론
2. 버전들과 세계들의 차이
3. 옳은 버전과 그렇지 않은 버전
4. 전자에 관한 조작을 가능케 하는 실험적 버전
5. 실험 사례의 비실재론적 함의: 버전을 구성하는 도구
6. 결론
8장 내재적 실재론과 비실재론
1. 들어가는 말
2.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내재적 실재론
3. 유일한 세계와 복수의 세계
4. 결론
9장 어휘집에 의존하는 진리의 수립
1. 들어가기
2. 「구조 이래의 길」의 유의미성: 진리와 합리성에로의 귀환
3. 서로 다른 어휘집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약 불가능성
4. 진리 대응설의 기각과 진리 영역의 제한
5. 약간의 즐거운 혼동: 어휘집과 과학적 추론의 스타일의 유사성과 차이
6. 결론
10장 틀 내 창의성과 틀 간 창의성: 패러다임과 과학의 창의성
1. 서론
2. 주어진 틀 내에서 새로운 것과 주어진 틀을 벗어남으로써 새로운 것
3. 정상 과학과 과학 혁명
4. 틀 내 창의성(창의성 A): 특정 패러다임을 벗어나지 않고 이를 발전시키는 창의성
5. 틀 간 창의성(창의성 B): 특정 패러다임을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창의성
6. 결론
11장 타협 모형과 대안적 합리성의 모색
1. 도입
2. 전설이란 무엇인가
3. 전설의 비판자들
4. 키처의 세 가지 모형과 그 의의
5. 데본기 대논쟁: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의 존재에 대한 인정 과정과 타협 모형
6. 쿤 과학철학의 영향: 과학자 공동체, 하부 그룹, 변이, 충성 분포의 변화
7. 결론
Author
이상원
연세대 인문한국 교수, 명지대 교수로 근무했다.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미래철학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있다. 논문으로 “Interpretive Praxis and Theory-Networks,”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87(2006): 213-230 등이 있고, 저서로 『현상과 도구』(2009) 등이 있으며, 역서로 『실험실 생활: 과학적 사실의 구성』(2019) 등이 있다. 한국과학철학회 논문상을 받았다.
연세대 인문한국 교수, 명지대 교수로 근무했다.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미래철학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있다. 논문으로 “Interpretive Praxis and Theory-Networks,” Pacific Philosophical Quarterly 87(2006): 213-230 등이 있고, 저서로 『현상과 도구』(2009) 등이 있으며, 역서로 『실험실 생활: 과학적 사실의 구성』(2019) 등이 있다. 한국과학철학회 논문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