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플랫폼이 일상을 지배한다. 스마트폰을 쥐고 생활하는 ‘포노사피엔스(phono sapiens)’는 플랫폼 시대를 가장 잘 대표하는 신인류다. 교육, 업무, 소통, 쇼핑, 여가 등 일상의 거의 모든 일이 플랫폼을 거친다. 원유 정제기술로 자동차 연료와 다양한 화학제품을 만들어낸 정유산업이 100년 전 산업화의 주역이었다면, 초연결사회에서 사람들이 남긴 흔적을 모으고,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듬을 활용해 데이터의 상품 가치를 추출하는 플랫폼 기업은 새로운 산업화의 주역이다.
이 책은 플랫폼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종합적으로 탐색하고자 한국사회학회가 중심이 되어 수행한 공동연구의 결과물이다. 일곱 명의 사회학자와 한 명의 정치학자, 그리고 한 명의 인문학적 음악가 이렇게 총 아홉 명이 참여한 연구진은 2019년 11월부터 1년간 월례 세미나와 두 차례 워크숍을 진행했다. 이 책의 토대가 된 각 장의 내용은 “플랫폼 사회가 온다: 코로나19가 재촉한 변화와 대응”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사회학회가 개최한 공개 심포지엄(2020년 10월 23일)에서 발표한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01 플랫폼 사회, 코로나19가 재촉한 변화와 대응 _ 이재열
팬데믹이 만든 역사적 변화│코로나19가 가속한 플랫폼화│플랫폼 혁명과 경쟁력│기술-제도-일상의 관계로 본 플랫폼 사회│이 책의 구성과 내용
제1부 변화하는 일상
02 우리는 설득이 불가능한 사회로 가는가? _ 하상응
들어가며: 자유의 아이러니│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표현의 자유│표현의 자유, 그 부작용│결론
03 단절사회에서 더불어 살려면: 개인화된 한국 사회와 플랫폼 사회의 도래 _ 임동균
들어가며: 개인화된 사회와 플랫폼 사회의 교차│개인화된 한국 사회의 미시적 풍경│한국의 개인화가 가진 이중적 어려움│플랫폼 앞에 선 개인│나가며: 플랫폼이 희망의 공간이 되려면
04 20대와 50대의 단절과 전승: 1980~2019 한국 현대문학 연구 텍스트 분석 _ 이원재·김병준
오늘날 세대 연구의 중요성│우리는 세대를 어떻게 이해해 왔는가│두 가지 관찰: 20대와 50대 사이의 기억의 단절과 역사 구조적 차이│논문 수와 연구자 수로 본 현황: 기술(descriptive) 통계│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20대와 50대 사이의 단절과 역사 구조적 변화: 해석과 결론
05 코로나가 일으킨 클래식 음악계의 지각변동 _ 조은아
클래식 공연의 오래된 미덕│비일상적 공간, 콘서트홀│기술복제 시대, 음반의 등장│코로나, 클래식 음악계의 지각변동│공연 영상화를 개척하다: 베를린 필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예술의전당, Sac on Screen│모자이크 앙상블│온라인 공연의 명과 암│영상 공연의 유료화: 네이버TV│영상 콘텐츠의 제작│온라인 음악교육 현장│원격 레슨의 기술적 구현│온라인 교육 콘텐츠, 본 투비 웹(Born to be Web)│설문조사: 코로나 이후 온라인 공연감상│예술의 사명
제2부 기술 변화와 제도 혁신
06 윤리적 AI 대 윤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플랫폼 _ 강정한
데이터 플랫폼은 윤리적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을까?│예측가능성 패러독스│AI의 해석가능성과 책무성│거짓 양성 대 거짓 음성 간 균형: 신종 코로나의 경우│윤리의식의 가소성│기술 발전에 영향받는 윤리 감수성│시리, 핑계거리 찾아줘│해석인가 합리화인가?│심적 시뮬레이션과 공감: 인지와 도덕이라는 동전의 양면
07 알고리듬이 편향된다면? _ 이호영
무엇을 입고 먹을지 고민하지 말라│알고리듬의 시대│알고리듬은 찾아준다│알고리듬은 분류한다│알고리듬은 판단한다│알고리듬은 추천한다│알고리듬은 예측한다│알고리듬은 관리한다│알고리듬은 자동화한다│알고리듬 편향은 완화될 수 있을까│알고리듬 편향과 사회적 딜레마
08 플랫폼은 일을 어떻게 바꾸는가? _ 한준
들어가며│기술과 일: 지난 과정에 대한 짧은 소개│플랫폼의 등장과 일에 대한 영향│플랫폼은 일의 시·공간적 경계를 없애는가?│플랫폼은 일하는 사람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는가?│플랫폼은 일하는 사람을 더 편하고 자유롭게 해주는가?│플랫폼이 일을 더 좋게 만들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09 플랫폼 사회의 도래, 산업화의 세 번째 분기점 _ 이재열
플랫폼 사회는 새로운 분기점인가?│플랫폼을 둘러싼 갈등과 책임성 논쟁│플랫폼 G2 전쟁과 유럽│한국형 플랫폼 사회로 가는 길
Author
이재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의 연결망, 사회의 질, 사회적 웰빙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 논저로 “Social Capital in Korea: Relational Capital, Trust and Transparency”(2015), 『당신은 중산층입니까』(2015, 공저), 『한국사회의 질』(2015, 공저), 『아시아는 통한다』(2016, 공편)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을 거쳐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디렉터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의 연결망, 사회의 질, 사회적 웰빙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 논저로 “Social Capital in Korea: Relational Capital, Trust and Transparency”(2015), 『당신은 중산층입니까』(2015, 공저), 『한국사회의 질』(2015, 공저), 『아시아는 통한다』(2016, 공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