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와 안보 환경은 정치적 문제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분야와도 맞물려 그 양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각국은 대외 변화의 흐름을 고려하면서 동시에 자국의 실정에 맞는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동북아 주요 국가들의 전략 경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한반도는 여전히 정전 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군사·안보 전략을 세워야 할까? 전쟁과 전략 분야의 연구를 주도해 온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들은 현대 전쟁의 양상과 주요 국가들의 전략을 분석해 국가안보 전략을 다각도로 제시하고자 ‘전략연구총서 1권’을 기획했다. 이 책은 현대 전쟁이 발발한 원인과 배경, 전쟁전략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미국·일본·중국·러시아와 같은 강국들의 군사·안보 전략상의 변화를 고찰한다. 최신 자료와 정보, 이 분야 전문가들의 냉철한 분석과 전망 등이 국방정책을 개발하고 수정·보완하는 데 하나의 지표가 될 것이다.
Contents
1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대 전쟁
1장 중국 국민정부의 항일유격전 _기세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일 유격전 실시 배경
3. 국민정부의 유격전 체제와 훈련
4. 국민정부군의 대일 유격전 실시 현황
5. 맺음말
2장 베트남전쟁의 재평가와 현대 전략적 함의 _박민형
1. 머리말
2. 베트남전쟁의 배경과 원인
3. 북베트남의 전쟁 전략 분석
4. 베트남전쟁의 주요 경과
5. 베트남전쟁 결과 분석
6. 한반도 안보에 주는 현대 전략적 함의
3장 걸프전쟁과 이라크전쟁 사이의 전쟁 패러다임 변화 _손경호
1. 머리말
2. 전쟁 패러다임 변화의 척도
3. 걸프전쟁
4. 이라크전쟁
5. 맺음말
4장 1999년 인도·파키스탄 ‘카르길 전쟁’: 핵보유국에 대한 ‘전략적 강압’ _손한별
1. 머리말
2. 이론적 검토
3. 카르길 전쟁
4. 한국에 주는 함의
5. 맺음말
2부 21세기 동북아 주요 국가의 전략 경쟁
5장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와 미국의 핵전략: 제한핵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_이병구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전환기 미국의 국제관계 인식: 강대국 경쟁 시대의 회귀
3. 군사과학기술의 발전과 핵억제의 불안정성 증가
4. 미국의 제한핵전쟁 대비 태세 강화
5. 21세기 제한핵전쟁의 위험성과 한국 안보에 주는 함의
6장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 일본 아베 정부의 안보 및 군사전략 _박영준
1. 머리말
2. 미중 간 전략적 경쟁과 동아시아 안보 질서 변화
3. 미중 간 전략적 경쟁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전략
4. 안보정책 및 미일동맹: ‘다차원 통합방위력’과 인도·태평양 구상
5. 아시아 정책의 새로운 전개: 대중 및 대북 정책
6. 맺음말: 한국 안보정책에의 함의
7장 중국의 대전략 전환과 글로벌 영역에서 국방의 역할 확대 _박창희
1. 머리말
2. 중국의 대전략과 국방의 역할 확대
3. 중국의 첨단 군사력 건설 동향 및 평가
4. 주요 군사 동향과 주변 지역 군사활동
5. 지역안보에의 시사점과 한국의 대응 방향
6. 맺음말
8장 푸틴의 전쟁과 러시아 전략사상 _김영준
1. 머리말
2. 러시아의 지정학적 안보환경
3. 러시아 전략사상의 특징
4. 러시아 전략사상으로 본 푸틴의 전쟁
5. 맺음말
3부 한반도 전략 환경과 한국의 안보전략
9장 북한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 _김태현
1. 머리말
2. 북한 군사의 영향 요인
3. 북한의 안보전략과 국방정책
4. 북한의 군사전략
5. 맺음말
10장 1970년대 한국 자주국방론의 전개와 군사전략의 확립 _노영구
1. 머리말
2. 1960년대 후반~1970년대 자주국방 체제 확립
3. 1970년대 독자적 군사전략의 수립
4. 맺음말
11장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과 남북 관계의 발전 병행 추진의 딜레마 _한용섭
1. 머리말
2. 냉전기 한미동맹의 탄생과 진화 과정
3. 탈냉전기 한국의 한미동맹과 남북한 관계 발전 병행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한미동맹의 균열상
4. 북핵 시대 한국의 한미동맹 전략과 남북한 관계 개선 정책의 동시 추구 딜레마
5. 맺음말
Author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군사전략학과,기세찬
현재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석·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육군사관학교 교관을 거쳐 도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미·일 관계 프로그램(US-Japan Program) 방문학자로 두 번 체재했고, 한국평화학회 회장, 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또한 일본 정치외교, 동북아 국제관계, 국제안보 등의 분야에서 『제3의 일본』, 『안전보장의 국제정치학』(공저), 『21세기 국제안보의 도전과 과제』(공저),『해군의 탄생과 근대일본』 등 다수의 저서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외교부의 정책자문위원 활동과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의 칼럼 집필 등을 통해 국가안보 정책에 대한 제언도 활발히 하고 있다.
현재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석·박사 과정을 수료한 후 육군사관학교 교관을 거쳐 도쿄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미·일 관계 프로그램(US-Japan Program) 방문학자로 두 번 체재했고, 한국평화학회 회장, 국제정치학회 안보국방분과위원장 등으로 활동했다. 또한 일본 정치외교, 동북아 국제관계, 국제안보 등의 분야에서 『제3의 일본』, 『안전보장의 국제정치학』(공저), 『21세기 국제안보의 도전과 과제』(공저),『해군의 탄생과 근대일본』 등 다수의 저서와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외교부의 정책자문위원 활동과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의 칼럼 집필 등을 통해 국가안보 정책에 대한 제언도 활발히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