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매체환경은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유튜브, SNS 등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새로운 매체의 영향력은 기존 매체를 넘어설 정도로 거세다. 매체의 발달로 인한 장점도 많지만 그만큼 부작용도 심각한 세상이 되었다. 사회 규범의 한계를 넘어서는 상업 콘텐츠와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극단적인 주장, 가짜 뉴스 등, 객관적 사실과 실체적 진실에 입각한 정보가 아닌 사회·정치적 또는 경제적 이해관계 등에 따라 왜곡된 정보가 넘쳐 난다. 태어나면서부터 미디어의 세례를 받아 디지털 원주민으로 불리지만, 아직은 분별력과 안목이 부족한 청소년들을 미디어 홍수로부터 보호하고 올바른 정보를 습득하도록 이끌 미디어 교육의 도입이 시급하다. 한국방송학회가 기획하고, 7인의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이 집필한 이 책은 매체의 개념과 특성·기능·효과뿐 아니라 뉴스 프레임, 게임의 함정, 유튜브 알고리즘, SNS상의 관계, 매체 윤리 등 다양한 시각으로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균형감 있게 담아냈다. 이 책이 Z세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과 미디어 교사들의 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멘토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
Contents
1단원 매체 일반_ 김형일
1. 매체란 무엇인가
2. 매체에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3. 매체에는 어떤 유형이 있나
1) 인쇄 매체
2) 방송 매체
3) 인터넷 매체
4. 매체는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매체와 정치
2) 매체와 경제
3) 매체와 문화
5. 오늘날의 매체 환경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2단원 뉴스 매체_ 이창호
1. 뉴스의 정의 및 생산 과정
2. 뉴스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3. 어떤 것이 뉴스 가치가 있는가
4. 뉴스의 기능
5. 뉴스 프레임 이해하기
6. 뉴스 보도 원칙
7. 어떻게 뉴스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8. 가짜 뉴스를 어떻게 분별할 수 있는가
9. 취재 및 보도 준칙
3단원 SNS 매체_ 최진호
1. SNS란 무엇인가
2. SNS를 통한 관계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1) 관계와 도움 주고받기…
2) 네트워크에서의 힘
3. SNS에서의 정체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4. SNS상의 나의 정보는 왜 조심히 관리해야 할까
5. SNS 이용은 우리 사회와 어떻게 맞닿아 있을까
6. SNS에서 가짜 뉴스는 왜 위험한가
4단원 유튜브 매체_ 봉미선
1. 유튜브는 어떠한 공간일까
2. 유튜브, 왜 많이 이용할까
3. 유튜브 영상 올리기와 시청의 의미
4. 유튜브 영상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5. 유튜브 운영과 수익 구조
6.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은 무엇일까
7. 유튜브 영상 홍수 속에서 무엇을 봐야 할까
8. 유튜브 리터러시
5단원 게임 매체_ 장근영
1. 우리 삶 속의 게임
2. 게임이란 무엇인가
3. 게임의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
1) 메커니즘
2) 이야기
3) 미적 요소
4) 기술
4. 게임의 재미는 어디에서 오나
1) 경쟁
2) 의외성
3) 모방
4) 짜릿함
5. 게임의 기능은 무엇인가
6. 게임의 함정
1) 디지털 게임은 안전하다
2) 디지털 게임은 시간 대비 효율성이 높다
3) 디지털 게임은 체력적 부담이 적다
4) 디지털 게임은 현실과 가상이 뒤섞여 있다
7.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한 게임 이용의 원칙
6단원 영화 매체_ 노광우
1. 영화를 보고 즐기는 두 가지 방식: 개인적 관람과 공적 관람
2. 영화의 제작, 배급, 상영
3. 영화의 시각적 요소: 색채, 화면, 조명, 각도0
4, 영화의 청각적 요소: 대화, 주변음, 음악
5. 영화의 편집: 장면의 연결
6. 영화의 이야기 진행: 스토리와 플롯
7. 영화 장르: 소속과 구분
8. 작가와 예술: 의도와 개성
9. 배우와 스타
10. 영화와 글쓰기
7장 매체 윤리_ 김봉섭
1. 언론 매체 윤리 알아보기
2. 매체의 윤리성 판단하기
3. 디지털 매체 윤리 살펴보기
4. 디지털 매체 윤리 적용하기
1) 뉴스와 가짜 뉴스
2) SNS와 사이버 폭력
3) 유튜브와 저작권
4) 컴퓨터 게임과 게임 중독
5. 인공 지능 윤리 이해하기
6. 올바른 매체 이용자 역량 쌓기
Author
김봉섭,김형일,노광우,봉미선,이창호,장근영,최진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이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한국정보문화센터(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입사한 이후 줄곧 정보 문화, 정보 윤리, 인터넷 중독, 정보 격차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정책 개발과 사업을 담당했다. 저서로는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디지털 디바이드』(2016),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3, 공저) 등이 있다. 논문은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2021),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2020),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2015) 등 다수가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이다. 경희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한국정보문화센터(현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에 입사한 이후 줄곧 정보 문화, 정보 윤리, 인터넷 중독, 정보 격차 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정책 개발과 사업을 담당했다. 저서로는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 공저), 『디지털 디바이드』(2016), 『사이버불링의 이해와 대책』(2013, 공저) 등이 있다. 논문은 「성인의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2021),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2020),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자의 정서적 효과 연구」(2015)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