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험난했던 ‘고난의 행군’ 이후, 물적 토대를 상실한 ‘수령공동체’와 권력이 된 ‘화폐’는 적대적 공존의 관계가 되었다. 남은 것은 화폐가 거미처럼 자아내는 사회적 관계와 수령공동체가 화학적 결합을 도모하는 길뿐이다. 바야흐로 북한은 화폐의 힘을 의식적이고, 사회적으로, 매우 정교하게 통제해야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화폐는 작은 사물이다. 그러나 작은 화폐의 배후에는 거대한 사회적 관계가 숨어 있다. 북한의 화폐현상을 통해 개인과 사회의 유기적 관계를 전체적(holistic)으로 조망하고, 얻어진 통찰을 전개하여 남북화해와 협력의 방안을 이끌어내는 것, 이 글이 지극히 바라는 것이다.
Contents
서론 변화하는 수령의 나라
제1장 수령공동체의 완성
제2장 공동체의 붕괴와 새로운 질서의 확장
제3장 경제질서의 재편과 ‘관료적 시장’의 형성
제4장 화폐적 관계의 확산과 주민들의 변화
결론 황금주판을 두드리는 혼종체제
Author
민영기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고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북한문제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북한의 화폐와 금융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남북경제협력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상생하는 경제패러다임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연구로는 「화폐공동체의 성립과 수령공동체의 균열」(2014), 「북한 경제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2016), 「북한의 경제질서 재편과 “관료적 시장”의 형성」(2016) 등이 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고 외래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북한문제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북한의 화폐와 금융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남북경제협력을 위한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상생하는 경제패러다임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주요 연구로는 「화폐공동체의 성립과 수령공동체의 균열」(2014), 「북한 경제체제의 변화에 관한 연구」(2016), 「북한의 경제질서 재편과 “관료적 시장”의 형성」(201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