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와 촛불집회는 어떤 관계일까?
〈나는 꼼수다〉는 왜 등장했고, 어떻게 파급되었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새로운 공간의 탄생은 한국의 권력관계를 바꾸어놓을 것인가?
1980년대 이후, 즉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시작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어떻게 변해왔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그리고 그 바탕 위에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매개로 사회적 주체들의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분석했다. 그러나 기술 발달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달라졌다는 도식적 분석을 지양하고 사회학적 논의를 심화시키기 위해서 가상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분석의 주요 프레임으로 활용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도입 이전에는 없는 새로운 공간의 탄생과 그 공간이 기술의 사회적 구성 정도에 따라 변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어왔는지를 중층적으로 분석했다.
Contents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제1장. 들어가는 글
1. 가상공간과 그 주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2. 정보네트워크와 가상공간에 관한 기존 논의와 그 한계
3. 연구 전략과 분석 프레임
제2장. PC통신 시대
1. PC통신 시대의 정보네트워크 기본 프레임
2. PC통신의 시작과 가상공간의 탄생
3. PC통신 시대의 사회적 권력관계의 재구성
4. 시민사회론의 공간학적 해석
제3장. 인터넷 네트워크 시대
1. 인터넷 네트워크 시대의 정보네트워크 기본 프레임
2. 인터넷 네트워크 시대의 가상공간의 속성
3. 인터넷 네트워크 시대의 사회적 권력관계의 재구성
4. 사회운동과 정보사회운동
제4장.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
1.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의 정보네트워크 기본 프레임
2.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의 가상공간의 속성
3.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의 사회적 권력관계의 재구성
4. 시민권 확장 또는 개인권력의 부상
제5장. 나가는 글
1. 연구의 개요
2. 네트워크 사회의 형성
3. 이론적 함의
4.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