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음’과 ‘신자유주의식 교육’을 향한 날선 경고,
‘공평성과 평등’ 문제 등 현 교육계 쟁점 새로 읽기
현대 교육사회학의 흐름과 쟁점을 아우르는 교육사회학 개론서
이런 시각에서 보면 교육시스템은 실력주의적 선발과정의 중립적인 조정자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학력과 직업, 사회적 노동분업의 재생산에 기반을 둔 보상의 불평등한 배분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본주의적 ‘민주주의’에서 이는 기존의 불평등을 정당한 것으로 여기는 도덕적 풍토(헤게모니)를 만드는 데 달려 있다. 여기에는 학생들이 교육에서의 성공 혹은 실패에는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믿게 만드는 과정이 포함된다. 결국 근대사회의 정당성을 떠받치는 단 하나의 기둥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적 성공이 실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신념일 것이다.
- 본문 중
이 책은 옥스퍼드대학교의 명예교수인 앨버트 헨리 할지 교수와 그의 학문적 동료들이 펴 내 오랜 기간 찬사를 받아온 명저 세 권의 서문을 모은 것이다. 기능론, 갈등론, 인적자본론,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교육을 둘러싼 여러 접근들을 개괄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은 물론 당대의 시대정신과 교육 사이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더 나은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그 자체로 한 권의 훌륭한 교육사회학 개론서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사회의 첨예한 교육적 쟁점들의 자리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하는 프리즘이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편역자의 글
제1부 교육에서의 권력과 이데올로기: 1960~1970년대(J. 카라벨, A. H. 할지)
1. 교육연구의 사회학
2. 교육연구의 미래
제1부 참고문헌: 교육에서의 권력과 이데올로기 목차
제2부 교육,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 1980~1990년대(P. 브라운, A. H. 할지, H. 로더, A. S. 웰스)
1. 경제 민족주의의 성립: 1945~1973년
2. 교육과 글로벌 경제: 새로운 컨센서스
3. 교육의 구조개혁
4. 교육, 불평등 그리고 사회정의
6. 새로운 정치산술을 위한 논의
제2부 참고문헌: 교육과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 목차
제3부 교육, 글로벌화 그리고 사회변화: 1997년 이후(H. 로더, P. 브라운, J.-A. 딜라보, A. H. 할지)
1. 들어가면서
2. 산업사회의 교육
3. 개인화와 글로벌화의 이중 도전
4. 교육과 민족국가의 재창조
5. 결론: 비전 2020
제3부 참고문헌: 교육, 글로벌화 그리고 사회변화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