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대원 관계 연구

$27.00
SKU
978894231164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23 - Wed 05/2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0 - Wed 05/2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3/08/26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4231164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그동안 여러 나라의 연구자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13-14세기 연구가 지나쳤던 몇가지 화제를 몽골제국과 그 속방의 관계라는 기본 인식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몽원사 연구자인 저자는 이를 통해 국내 고려후기 역사 연구자에 보이는 편향된 시선을 보완하고자 했다. 1206년 칭기스칸이 몽골 초원에 세운 제국 대몽고국의 13-14세기 동아시아 세계지배는 화이사상에 기초한 중화적 질서와는 다른 유목적 성격의 새로운 종번 개념에 입각한 국제 질서를 출현 시켰다. 몽골 제국은 카안에 투항한 주변 국가에 대해 국왕의 친조와 공납, 조군을 요구했고, 이후 몽골의 고려지배에 중화적 조공-책봉 관념이 부분적으로 나타난 것도 사실이지만 고려 또한 이같은 몽공의 이러한 요구에서 예외일 수 없었다는 점을 알려준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론: 고려-대원 관계 연구의 학설사적 검토
머리말
1. 고려-대원 관계 연구에서 기본 전제의 재검토
2. 속국론을 둘러싼 논쟁
3. 고려왕부설高麗王府說과 심왕위하의 문제
4. 새로운 분석틀 탐구
맺음말

제1장 여몽형제맹약과 초기 여몽관계의 성격: 사료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머리말
제1절 몽골·동진·고려 연합군에 의한 강동성 함락과 여몽형제맹약의 성격
1. 여몽형제맹약의 성립과정
2. 여몽형제맹약의 몽골 쪽 주체와 동도제왕가東道諸王家의 요동 지배 문제
제2절 『고종세가』 가운데 신묘년(1231) 몽골첩문 2통과 몽골의 고려 침략 추이
1. 살리타이 코르치의 첩문 2통과 몽골의 강화조건
2. 고려의 대응과 몽골의 새로운 요구
3. 여몽관계의 추이와 몽골의 고려정벌군 재편성
맺음말

제2장 몽골 군대의 고려 진주와 내속국체제의 수용
머리말
제1절 고려왕권의 위기와 몽골 군대의 고려 진주: 삼별초의 봉기와 몽골의 일본원정을 중심으로
1. 쿠빌라이 왕조의 성립과 1260년대 말 대몽고국 안팎의 정세
2. 임연의 쿠데타와 몽골군의 진주
3. 몽골군의 병력 증강과 고려 경내의 몽골 군정기관
4. 몽골의 제1차 일본원정과 몽골 정동원수부
제2절 몽골군의 고려둔전과 종전군種田軍
1. 동정이 둔전설치의 목적인가
2. 몽골 고려둔전 설치배경
3. 몽골의 고려둔전 설치과정
4. 몽골의 둔전경작 특색과 고려사회에 미친 영향
맺음말

제3장 여몽 통혼관계의 성립과 고려 안의 몽골 권력기관
머리말
제1절 고려왕실과 대원황실의 통혼관계 성립과 내속관계의 심화
1. 여몽 왕실-황실 혼인의 성립 경과
2. 여몽 왕실-황실 통혼의 성립과 고려왕실의 지위변화
제2절 부마고려국왕의 왕부와 몽골적 관제 ‘왕부비체치bicieci’
1. 고려국왕부와 공주부
2. 고려국왕부의 케식관怯薛官: 비체치 설치와 그 성격
맺음말

제4장 몽골제국 안의 고려인과 여몽관계
제1절 대원 궁정의 고려 출신 환관
1. 머리말
2. 몽골의 환관 기용과 고려 출신 환자의 납공
3. 고려 출신 환관의 내정결책內庭決策 참여와 여몽관계
4. 맺음말
제2절 두 나라 지배층의 통혼관계와 여몽관계
1. 머리말
2. 약탈과 강제에 따른 몽골지배층과 고려여인의 혼인
3. 몽골지배층의 반강제적 청혼에 따른 혼인
4. 자발적 청혼에 따른 여몽지배층 혼인관계의 성립
5. 몽골황실과 고려지배층의 혼인
6. 맺음말
부록 충선왕의 만권당(濟美基德痛掃漑)과 그 실체

제5장 몽골의 고려변경 지배와 고려 안의 몽골인, 몽골문화
제1절 몽골의 고려변경 지배: 탐라총관부를 중심으로
1. 머리말 304
2. 삼별초의 남하항쟁과 몽골-고려 연합군의 제주도 점령
3. 몽골정권의 탐라 지배와 이를 둘러싼 논쟁
4. 탐라 토착 지배세력의 관직 기용과 대원 탐라 지배의 추이
5. 제주도에 남은 몽골 탐라 지배의 유산
6. 맺음말 327
제2절 대청도와 몽골황자, 몽골제왕의 고려 유배
제3절 고려의 색목인 상인과 몽골문화: 『솽화점』과 염제신의 초상화를 중심으로
1. 개경의 회회상인과 솽화가게
2. 염제신의 초상화에 대한 소고

결론
찾아보기
Author
이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