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계선의 사회학』은 한반도 통일담론의 대표적 연구자 박명규가 통일상황 대해서 논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 등의 정치적 편가름을 뛰어넘어 객관적인 시선에서 한반도의 남북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특히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남북 간 이념적 대립과 정서상 차이 등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경계에 주목하며, 이러한 다름이 빚어내는 ‘비대칭성’이 과연 미래 한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면밀하고도 폭넓게 분석하여 독특한 결론을 제시한다.
저자는 오랫동안 시민의식조사 등 기초자료를 축적해 왔으며, 가치중립적이며 독립적으로 통일 문제를 다루었다. 우선 통일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그 이론의 현실적 배경을 검토하고, 민족의식이 통일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론과 현실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또한 통일문제 속에 담긴 이념갈등, 감정대립, 정치적 이해타산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며, 2010년 이후의 변화를 배경으로 미래 통일학의 방향을 설정한다. 저자는 남북한간의 비대칭성은 남한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하면서, 이런 역동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화해와 통일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서장|남북경계선의 사회학
제1부 남북한, 왜 갈등하는가
1장|남북관계의 세 차원
1. 민족관계
2. 적대관계
3. 준국가관계
4. 세 차원의 결합양식과 그 변화
2장|비대칭적 분단국체제론
1. 남북관계 이론화의 현황과 과제
2. ‘잠정적 특수관계’의 성격
3. 새로운 개념의 모색
4. 결론
3장|국민, 인민, 민족
1. 국민 개념의 역사적 구성
2. 인민 개념의 역사적 구성
3. 국민과 인민은 화해할 수 있는가
제2부 민족의식과 남북관계
4장|민족론과 통일론: 독일과의 비교
1. 독일의 경험
2. 한반도의 상황
3. 민족과 통일
5장|북한인식과 통일의식
1. 북한인식
2. 통일의식
3. 대북인식과 통일의식의 상호관계
4. 결론
6장|민족주의의 재인식
1. 남북한 민족주의의 내용
2. 1990년대의 변화
3. 민족주의의 미래 전망
제3부 분석적 통일학의 정립
7장|통일담론과 통일연구
1. 통일담론의 주체와 유형
2. 담론 간 상호관계
3. 미래전망과 학계의 역할
8장|남북통합단계의 개념화와 지수화
1. 통일연구의 방법론적 문제
2. 방법론으로서의 지수구성
3. 지수구성에서 개념의 중요성
4. 지수의 구성
5. 남북통합지수와 통일정책
6. 결론과 과제
9장|남북관계와 세대, 학력, 계층
1. 북한에 대한 인식
2. 통일에 대한 태도
3. 미국에 대한 인식
4. 결론
제4부 통일과 평화, 어떻게 준비할까?
10장|통일평화와 녹색평화
1. 대전략이 필요한 시대
2. 발전 패러다임의 성찰
3. 발전가치로서의 평화, 통일, 녹색
4. 정책적 함의들
5. 결론
11장|다문화주의와 남북통합
1. 개념의 검토
2. 다문화론 등장의 사회적 맥락
3. 다문화상황과 남북관계
4. 결론
12장|통일시대의 안보
1. 남북관계 변화와 대전략구상
2. 국민의 통일의식
3. 21세기를 향한 안보
4. 결론
13장|연성복합통일론
1. 21세기 환경에서의 통일론
2. 어떤 업그레이드가 필요한가
3.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