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교육혁신을 말하다

$21.60
SKU
97889364857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2/7 - Thu 0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2/4 - Thu 0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1/06/27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88936485702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반값 등록금, 무엇이 문제일까?
진보적 성향의 지성인들과 경제학자가 만나 머리를 맞대다!



한국의 대표적 경제학자들을 비롯해 그동안 교육문제에 밀접히 관여해온 16명의 진보적 지성들이 지난 1년 여간 여러 현안을 놓고 토론하면서 생산한 연구결과를 묶어낸 책이다. 한국교육 전반에 걸친 경제학적 문제제기, 대학문제, 초중등교육 개혁의 방향과 성과, 교육과 복지라는 시대적 화두에 대한 전망 등을 제시하고 좌담을 통해 각각의 현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교육문제의 해결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속에서 비로소 가능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다양한 교육 관련 이슈를 정치적·경제적 현상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고 있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제1부 교육은 계층이동의 사다리인가
학벌경쟁게임의 경제심리학
교육열이 높으면 경제가 발전하는가
교육·부동산이 쌓아올린 높은 성, 강남

제2부 대학개혁을 위한 5가지 제안
대학개혁은 학벌게임 종료의 차선책이다
대학을 줄여야 하나, 정원을 줄여야 하나
한국에서 전문대학을 다닌다는 것의 의미
국립교양대학 안을 국민투표로

제3부 초·중·고 개혁을 위한 5가지 제안
수월성 교육, 그 수월하지 않은 미신
혁신학교 아이들의 공부법
대학입시를 다시 생각한다
무상급식이라고 쓰고 인권이라고 읽는다
학생인권 조례를 아십니까

제4부 교육은 사회개혁의 견인차다
교육과 복지, 새 술은 새 부대에
교육재정, 누가 이 치즈를 옮겼는가
친환경 직거래 무상급식은 가능하다
'적극적 평화'를 가르칠 때다

제5부 좌담|교육을 바꾸려면 사회도 바꿔야 한다


필자약력
Author
김상곤,김윤자,강남훈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대표이다. 대표 저서로 『기본소득과 정치개혁』(진인진, 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박종철출판사, 2019), 『정보혁명의 정치경제학』(문화과학사, 2002),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통합의 경제학』(공저, 2010), 『한국경제와 마르크스경제학의 도전』(공저, 2009), 『정보재 가치논쟁』(공저, 2007) 등이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 「섀플리 가치와 공유경제에서의 기본소득」(『마르크스주의 연구』 12권 2호), 「성남시 청년배당: 토론과 경험」(『2016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 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년 6월 3일 발표논문),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권리: 마르크스의 지대이론과 섀플리 가치 관점에서」(『마르크스주의 연구』 43호)「한국에서 기본소득 정책과 기초생활보장 정책의 재분배효과 비교」(2011), 「불안정노동자와 기본소득」(2013)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자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대표이다. 대표 저서로 『기본소득과 정치개혁』(진인진, 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박종철출판사, 2019), 『정보혁명의 정치경제학』(문화과학사, 2002),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통합의 경제학』(공저, 2010), 『한국경제와 마르크스경제학의 도전』(공저, 2009), 『정보재 가치논쟁』(공저, 2007) 등이 있으며, 대표 논문으로 「섀플리 가치와 공유경제에서의 기본소득」(『마르크스주의 연구』 12권 2호), 「성남시 청년배당: 토론과 경험」(『2016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 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년 6월 3일 발표논문), 「인공지능과 기본소득의 권리: 마르크스의 지대이론과 섀플리 가치 관점에서」(『마르크스주의 연구』 43호)「한국에서 기본소득 정책과 기초생활보장 정책의 재분배효과 비교」(2011), 「불안정노동자와 기본소득」(201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