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를 때리고, 자를 치우고.”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여자컬링 대표팀의 사투리가 여과없이 방송을 타고, 사투리를 적극 활용한 ‘응답하라’ 시리즈가 인기리에 방영되는 등 사투리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꽤 오랫동안 사투리는 ‘방송심의규정’을 통과해야 했고 ‘사투리 쓰지 않기 운동’을 피해 음지에 머물러야 했다. 지방분권을 외치지만 지방은 언어에서부터 제 역할을 넘겨받지 못했던 셈이다. 30년째 제주방언을 연구해오면서 우리나라 방언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앞장서온 정승철 교수(서울대 국어국문학과)가 표준어와 방언의 대결구도를 사회문화사적으로 추적하는 저작 『방언의 발견』을 펴내며, 획일화된 가치를 강요하는 우리 사회문화에 일침을 가한다. 다름이 차별이 되어서는 안 되며, 그 원칙은 일상생활의 언어에도 차별없이 적용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사실 반만년 역사에서 사투리가 이토록 푸대접을 받은 기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면서 서울말과 지방어 사이에 위계가 생겨났고, 근대계몽기와 산업화시기를 거치면서 국가 주도의 표준어 정책 아래 방언은 교정해야 할 말, 공식적이지 못한 언어로 억압받아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삶 속에서 방언은 일상어로 끈질기게 살아남아 그 저력을 과시해왔는데, 저자는 일제강점기의 소설에서부터 오늘날의 드라마와 영화, 가요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자료를 꼼꼼히 분석해 우리 문화 속 방언의 위상을 다각도로 살펴본다. 나아가 ‘방언 사용권’이 우리 사회가 문화적 다양성을 얼마나 존중하고 수용하는지 판가름하는 척도임을 지적하며 방언을 사용할 권리는 곧 인간의 ‘기본권’임을 역설한다.
Contents
머리말 방언 사용권은 인간의 ‘기본권’
1부 방언의 등장
1장 조선시대의 방언
―처엄 들을 적은 귀에 서더니 오래 들으니 닉어가더라
2장 근대의 계몽운동과 방언
―영남 말씨는 강직하고 호남 말씨는 내교가 많다
2부 표준어의 대두
3장 조선총독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다
―힘써 야비한 사투리를 쓰지 말지어다
4장 조선어학회, 표준어 단어를 정하다
―『표준말 모음』, 우리말을 바로 쓰는 데 없지 못할 책
3부 표준어와 방언의 대결
5장 근대 어문 운동의 두 방향
―문자보급 VS 방언 채집
6장 근대 문학 속의 방언
―언어 통일 VS 지방색
7장 광복 후 대중문화계의 큰 별들
―표준어파 VS 사투리파
4부 표준어의 석권, 방언의 눈물
8장 근대화의 희생양 ‘사투리’
―언어에 섞인 ‘잡스러운 것’을 떼어버리고
9장 심판대에 선 방언
―사투리 강한 인사, 사회 못 맡아
10장 법정에 선 표준어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 없는 사람?
5부 방언의 희망
11장 TV 속의 방언
―괜찮아유
12장 영화 속의 사투리 열풍
―니가 거시기 혀야 쓰겄다
13장 사투리 쓰는 사람들
―야야, 봉숙아
맺음말 전통 방언의 소멸 속도 늦추기
Author
정승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하대 한국어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주방언의 음성·음운을 주제로 방언 연구를 시작했는데 제주방언 하나만으로는 방언학을 제대로 할 수 없으리라는 생각에, 지금은 한국의 모든 방언을 고려한 방언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언어문화사를 탐구하는 가운데, 방언의 가치를 발견하고 보존하는 일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제주도방언의 통시음운론』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소리와 발음』(공저)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공저)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공저) 『안확의 국어 연구』(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하대 한국어문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주방언의 음성·음운을 주제로 방언 연구를 시작했는데 제주방언 하나만으로는 방언학을 제대로 할 수 없으리라는 생각에, 지금은 한국의 모든 방언을 고려한 방언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의 언어문화사를 탐구하는 가운데, 방언의 가치를 발견하고 보존하는 일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제주도방언의 통시음운론』 『한국의 방언과 방언학』 『소리와 발음』(공저) 『한국 근대 초기의 언어와 문학』(공저)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의 언어와 문학』(공저) 『안확의 국어 연구』(공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