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관리시스템

$30.62
SKU
97889363244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2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88936324476
Categories 대학교재 > 공학계열
Description
기업이 ISO 45001의 원리와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그것의 등장배경, 취지, 각 조문의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책은 총 4장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ISO 45001이 제정된 경위와 배경을 자세하게 고찰하고 다른 안전보건관리시스템과 비교분석하는 한편, ISO 45001의 사회적 수요와 중요성을 포함하여 ISO 45001의 위상과 특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에서 ISO 45001에 접근하는 방법과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규격 요구사항과 인증제도의 개요와 동향을 소개하였다. 2장에서는 조직에서 ISO 45001을 도입하여 실행할 때의 포인트를 핵심적인 개념과 유의해야 할 사항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ISO 45001이 ISO 9001, ISO 14001 등 다른 ISO 관리시스템규격과 공통되는 부분과 차이 나는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었다. 4장은 ISO 45001의 각 규격 요구사항의 제정의도와 그 의미를 축조식으로 상세하게 해설하였다. 조문별로 ISO 45001 부속서(안내지침)의 해당 내용을 덧붙여 소개하는 한편 OHSAS 18001과의 비교설명도 하였다. 부록에서는 안전보건관리시스템을 둘러싼 국제적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선진외국의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규격 또는 지침의 개요와 영국, 미국, 일본의 안전보건관리시스템에 관한 대표적인 자료를 소개하였다.
Contents
1 ISO 45001:2018의 발행과 그 활용
2 ISO 45001 도입 및 실행 시의 포인트
3 다른 ISO 관리시스템 규격과의 비교
4 ISO 45001:2018 요구사항 해설
부록 Ⅰ. OHSMS의 국제적 동향과 시사점
부록 Ⅱ. OSHMS의 국제동향과 우리나라에서의 발전방안
부록 Ⅲ. 선진국의 OHSMS
Author
정진우
1986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치의예과에 입학하였으나 학과 공부보다는 주로 인문사회과학 서적을 탐독하는 데 열중하였다. 사회과학 계통으로 전공을 바꾸고 행정학, 경제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을 공부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일본 교토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사회법 중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에서 오랫동안 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업무를 담당하였고,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의 지평은 법학을 넘어 안전을 다양한 사회과학에 접목시키는 융복합적 연구로 넓히고 있다. 영어, 독어, 일어 등 여러 외국문헌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장점을 살려, 선진국의 안전에 관한 경험과 이론을 우리 현실에 맞는 내용으로 소개하고, 나아가 척박한 우리나라 안전학(Safety Science)을 개척하고 발전시키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1986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치의예과에 입학하였으나 학과 공부보다는 주로 인문사회과학 서적을 탐독하는 데 열중하였다. 사회과학 계통으로 전공을 바꾸고 행정학, 경제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을 공부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일본 교토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서 사회법 중 산업안전보건법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에서 오랫동안 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업무를 담당하였고,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의 지평은 법학을 넘어 안전을 다양한 사회과학에 접목시키는 융복합적 연구로 넓히고 있다. 영어, 독어, 일어 등 여러 외국문헌에 대한 접근이 가능한 장점을 살려, 선진국의 안전에 관한 경험과 이론을 우리 현실에 맞는 내용으로 소개하고, 나아가 척박한 우리나라 안전학(Safety Science)을 개척하고 발전시키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