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 행사

$27.00
SKU
978893231911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2/28
Pages/Weight/Size 152*216*30mm
ISBN 978893231911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선 왕실 문화의 대표적 기록물인 의궤를 새로운 시각으로 심층 분석한 책

의궤는 ‘의례’나 ‘예법’에 관한 책자인가?
아니면, 국가 행사나 사업에 대한 증빙과 소명의 기록물인가?


이 책은 조선시대 왕실 문화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의궤가 조선왕조의 왕실 행사에 관한 국가 기록물이며, 고려와 조선왕조에 특유한 도감 제도와 관련된 기록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의궤의 기록 형식과 구성 내용을 다양한 화보와 함께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책이다. 전 7권으로 기획된 현암사의 ‘왕실문화총서’ 세 번째 책이다.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 왕조의 의궤(儀軌)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기록물 중에 하나이다. 그런데 조선왕조의 의궤에 대한 연구서나 안내서를 보면 의궤를 ‘의례(儀禮)’나 ‘예법’에 관한 책자로 설명하고 있다. 나아가 의궤와 같은 기록물을 남기게 된 까닭도 의례를 중시한 조선왕조의 유교 문화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소개한다. 물론 의궤는 조선왕조가 남긴 기록문화유산이므로 유교 의례와 어떻게든 관련이야 되겠지만, 의궤를 유교 의례에 관한 기록물로 보는 것은 의궤를 제대로 파악한 것이라 할 수 없다.

의궤가 어떤 책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바로 조선 시대의 도감(都監) 제도이다. 의궤는 조선의 도감 제도가 남긴 기록물이기 때문이다.
Contents
책머리에
서론

1장 의궤란 무엇인가
1. 의궤의 뜻과 용례
2. 의궤와 국가 의례
3. 의궤와 왕실 행사

2장 의궤의 현황과 분류
1. 현전 의궤의 현황
2. 의궤의 분류

3장 조선시대의 의궤 제작
1. 선초 『실록』의 의궤에 관한 기록
2. 의궤의 제작과 분상(分上)
3. 어람용 의궤의 제작

4장 의궤의 내용 구성
1. 관리 부서(도청)의 기록
2. 작업 부서(방 혹은 소)의 기록
3. 기타 지원 부서의 기록

5장 왕실의 통과의례에 관한 의궤
1. 책례도감의궤
2. 가례도감의궤
3. 국상(國喪)에 관한의궤
4. 부묘도감의궤
5. 존숭과 추숭 행사에 관한 의궤

6장 왕실의 특별 행사에 관한 의궤
1. 궁중 연회에 관한 의궤
2. 영접도감의궤
3. 녹훈도감의궤
4. 그 밖의 기념적 행사에 관한 의궤

7장 왕실 건축물 영건(營建)에 관한 의궤
1. 태실의 조성에 관한 의궤
2. 궁중 건축물 영건에 관한 의궤
3. 능원묘 조성에 관한 의궤
4. 종묘, 진전, 왕실 사묘(祠廟)의 개수에 관한 의궤

8장 서적 편찬에 관한 의궤
1. 왕실 족보의 수정에 관한 의궤
2. 실록 편찬에 관한 의궤
3. 『국조보감』 편찬에 관한 의궤
4. 그 밖의 서적 편찬에 관한 의궤

9장 의기(儀器)의 조성에 관한 의궤
1. 어진 제작에 관한 의궤
2. 악기와 제기의 조성에 관한 의궤
3. 책보(冊寶)의 개조와 보수에 관한 의궤

10장 왕실 행사와 의궤의 반차도(班次圖)
1. 왕실 행사와 의장(儀仗)
2. 가례도감의궤 반차도
3. 책례도감의궤 반차도
4. 존호도감의궤 반차도
5. 국장 때의 발인 반차도
6. 부묘도감의궤 반차도

맺음말_국가 기록물로서 의궤의 성격
1. 의궤와 도감 제도
2. 의궤와 등록
3. 의궤와 왕실 행사

참고 문헌
부록 / 조선왕조 의궤 목록 396
Author
김해영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저서로는 『조선초기 제사전례 연구』(집문당), 『망우당 곽재우』(경인문화사), 『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행사』(현암사)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고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저서로는 『조선초기 제사전례 연구』(집문당), 『망우당 곽재우』(경인문화사), 『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행사』(현암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