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가 조강석(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의 새 비평집 『틀뢴의 기둥』(문학과지성사, 2021)이 출간됐다. 저자는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비평 활동을 시작했으며, 문학이 무엇인지에 관한 본질적 질문을 바탕으로 ‘지금-여기’에 유효한 문제들을 제기하며 꾸준한 활동을 보여왔다. 수록 글 「다시 문학의 실효성에 관하여」는 제65회 현대문학상 수상작이다.
‘틀뢴’은 잘 알려졌다시피 보르헤스의 소설에 등장하는 한 가상 세계에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현실 세계의 물리적?도덕적 법칙에 기초해 축조된 것이되 그것과는 다른 방식의 독자적 운영 체계를 지니고 있”는 “독립적이고 정합적인 세계”를 일컫는 말이다. 또한 ‘틀뢴’은 형이상학적인 관념물들의 집합이 아닌 “현실과 비스듬히 서 있는 또 하나의 실재”이다. 문학이 가상이라는 것은 일종의 토톨로지tautology라고 말할 때 저자는 문학이라는 가상, 즉 틀뢴의 기둥을 묵묵히 밀고 나감으로써 비평적 역할을 수행 중인 것은 아닐까. ‘문학의 실효성’ ‘이미지 사유’ ‘모티폴로지motiphology’로 간추릴 수 있는 조강석 비평 세계의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저자는 다시 한번 문학을 붙들고 그의 비평 세계를 축조해낸다.
Contents
책머리에
1부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예술 의지’
동시대 시문학의 세 가지 ‘예술 의지’
헤라클레스의 기둥과 두 개의 환원
‘현재에 대한 열정’의 결여와 평온한 상대주의
우리는 결코 미래인이었던 적이 없다
시적 디테일과 두 개의 내밀성
2부 문학의 실효성에 대하여
메시지의 전경화와 소설의 ‘실효성’ ―정치적·윤리적 올바름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단상
다시 문학의 실효성에 관하여―김숨 연작소설, 『한 명』 『흐르는 편지』 『군인이 천사가 되기를 바란 적 있는가』 읽기
치유로서의 문학, 증상으로서의 문학
존재 3부작과 이미지-서사
접힘과 펼침의 장소로서의 ‘이미지-사건’
‘정동’에 대한 생산적 논의를 위하여
3부 21세기 몰리뉴 사고실험
감은 눈과 세계의 이본
십일월의 이야기 ―듣는 눈과 말하는 귀
음계(音界)의 안복(眼福)
무수히 문들인 시적 ‘틀뢴’
세계라는 기관과 생물(학)적 우울
언어와 실재의 신약(新約)
토템과 화석, 그리고 낭만적 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타인의 고통에 대하여
세 개의 죄의식
파국 이후 상상의 구조
Author
조강석
1969년 전주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아포리아의 별자리들』, 『경험주의자의 시계』,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이미지 모티폴로지』,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한국 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의 시학』, 『틀뢴의 기둥』 등이 있다. 김달진 젊은비평가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69년 전주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200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아포리아의 별자리들』, 『경험주의자의 시계』, 『비화해적 가상의 두 양태』, 『이미지 모티폴로지』, 『한국문학과 보편주의』, 『한국 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의 시학』, 『틀뢴의 기둥』 등이 있다. 김달진 젊은비평가상,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