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의 사상을 연구해온 김보현 전 부산대 교수의 연구서 『데리다와 문학』이 문예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데리다와 문학』에서는 데리다와 메타 문학과의 밀접한 관계를 들여다본다. 데리다가 문학에 이토록 애착을 갖는 이유는 서구 철학 및 인문학 전반, 그리고 정치·경제·법 등에 강고하게 자리 잡은 폐쇄의 대체계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철학 담론보다 말라르메, 베케트, 바타유, 그리고 조이스의 글쓰기가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장은 데리다 읽기를 위한 거시적 시계 확보를 위한 내용을 다룬다. 뒤이은 2장, 3장, 그리고 4장은 꼼꼼한 읽기를 통해 학인들이 반드시 경계해야 할 일반화의 오류를 피하기 위한 것을 담았다.
2장-철학의 문학화
4. 하이데거, 사르트르, 데리다
(1)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시
(2) 사르트르의 실존주의 문학
(3) 데리다의 해체적 사건
5. 데리다의 『글라』
(1) 『글라』의 글쓰기
(2) 이원 구조의 허구성
(3) 이원 구조가 발생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4) 절대 텍스트의 절대 상호텍스트성
(5) 주네- 헤겔의 더블
(6) 『‘글라’ 이후 그림을 위한 습작들』: 「나」와 「사닥다리」
3장-데리다의 가족 유사성과 가족 상이성
6. 데리다와 베케트: 잃어버린 침묵을 찾아서
(1) 언어에 대한 이중적 태도
(2) 이원 구조 비워내기
(3) 0점의 글쓰기-무의미의 리듬
(4) 단어 굴리기
(5) 허구 (차연) 속의 침묵
7. 데리다와 드 만: 포월의 광기와 허무의 유희
(1) 데리다와 드 만의 유사성
(2) 루소에 대한 드 만의 평가: 아이러니스트로서의 통찰력을 지닌, 구원된 루소
(3) 데리다의 루소 읽기
4장-데리다와 조이스
8. 데리다와 조이스의 가족 상이성
(1) 글자 소리
(2) 이원 구조에 터한 제유
(3) 기하학 틀
9. 조이스에 대한 데리다의 개입
(1) 「조이스의 율리시즈 그라마폰: 소문으로 듣고 예(스)라고 말하기 」
(2) 「조이스의 (에게 하고 싶은) 두 마디의 말, He War」
10. 조이스의 ‘애매폭력적’ 언어유희
11. 데리다와 조이스의 가족 유사성
(1) 이원 구조 해제
(2) 글자 소리 해제
(3) 기하학 틀의 연성화
인용 문헌
원고 출처
찾아보기
Author
김보현
한국외국어대학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주립대학(시애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잠시 미국 시애틀 Conservatory Theatre Company에서 연극배우로도 활동했다. 부산대학 영어교육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했다가 2015년 퇴임했다. 2000년에는 부산대학 국제교류협력처의 환태평양 실장을 역임했고, 2001년에는 데리다 초청으로 프랑스 사회과학연구원에서 방문연구를 수행했다.
데리다에 관한 책으로는 『해체』(해설 및 편역),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데리다 입문』, 그리고 『데리다와 문학』이 있으며, 모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 캠퍼스 특별도서보관소에 영구 보관되어 있다.
또한 서구 현대 극작가들에 관한 논문들과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공저), 『현대문학비평이론의 전망』(공저),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공역),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공역)이 있다.
한국외국어대학 영어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주립대학(시애틀)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잠시 미국 시애틀 Conservatory Theatre Company에서 연극배우로도 활동했다. 부산대학 영어교육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했다가 2015년 퇴임했다. 2000년에는 부산대학 국제교류협력처의 환태평양 실장을 역임했고, 2001년에는 데리다 초청으로 프랑스 사회과학연구원에서 방문연구를 수행했다.
데리다에 관한 책으로는 『해체』(해설 및 편역),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 『데리다 입문』, 그리고 『데리다와 문학』이 있으며, 모두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어바인 캠퍼스 특별도서보관소에 영구 보관되어 있다.
또한 서구 현대 극작가들에 관한 논문들과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공저), 『현대문학비평이론의 전망』(공저),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공역),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공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