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 심리학적 접근

$17.51
SKU
978893031795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8/20
Pages/Weight/Size 153*224*20mm
ISBN 9788930317955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 심리학적 접근

이 책은 문화적 다양성이 증진되는 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나타날 부정적(갈등적) 측면들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와 달리 문화적 다양성이 갖는 긍정적 측면들 중,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학적인 고찰이다. 문화적 다양성 또는 다문화 경험이 개인, 집단, 및 국가 수준에서 창의적 사고, 창의적 프로세스, 그리고 창의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관련 문헌과 경험적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특히 다양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세 분석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개인 수준에서 다문화 경험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경험적 연구 및 관련 연구 모형을 살펴보았고, 다문화경험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둘째, 집단(팀) 수준에서 구성원들의 다양성이 ‘생산적 갈등과정’을 통해 집단의 생산성과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 모형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 또는 국가의 거시 수준에서 문화적 다양성이 존중되는 사회일수록 창의적 성취의 질이 높다는 연구 결과들을 개관하였고, 다양성이 창의성에 기여하는 기제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Contents
제1장 창의성
1. 창의성의 필요성
2. 창의성의 정의와 유형
3. 창의성의 측정
4. 창의성 연구의 주요 접근
1) 창의성에 대한 신비주의적 접근
2) 창의성에 대한 실용주의적 접근
3) 창의성에 대한 심리역동적 접근
4) 창의성에 대한 심리측정적 접근
5) 창의성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6) 창의성에 대한 사회-성격심리학적 접근
7)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8) 창의성과 정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9) 지능과 창의성 간의 관계

제2장 창의성과 다양성: 개인 수준
1. 생성―탐험 모형: 개념 확장 및 조합
2. 다문화 경험과 창의성
3. 경험적 연구 1
4. 경험적 연구 2
5. Crisp와 Turner의 통합 모형
6.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창의성과 다양성: 집단 수준
1. 집단 다양성
2. 다양성과 창의성 간의 관계
3. 갈등의 효과
4. 통합 모형
1) 집단 내 동기화된 정보처리 모형
2) 역동적 구성주의 모형
3) 범주화―정교화 모형
5. 소수의 영향력
6.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창의성과 다양성: 사회 및 국가 수준
1. 사회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적 성취
2. 외국 문화 유입의 영향
3. 이중 정체성과 창의성
1) 다양성과 이중 정체성
2) 이중 정체성이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4. 창의성에 대한 문화 간 차이: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5. 사회문화적 창의성의 측정
1)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의 측정 및 지표
2) 국가와 지역사회의 창의성 지표
6. 다양성 정책에서의 고려사항
7. 결어

부고문록
참고문헌
Author
장재윤
서울대 심리학과 졸업(1987)
서울대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조직심리학 박사, 1996)
미국 Texas A&M 대학(2009), 일본 히토츠바시(一橋) 대학(2018) 방문학자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회장(2015),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2014)
현재 서강대 사회과학부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 심리학과 졸업(1987)
서울대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조직심리학 박사, 1996)
미국 Texas A&M 대학(2009), 일본 히토츠바시(一橋) 대학(2018) 방문학자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회장(2015),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2014)
현재 서강대 사회과학부 심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