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 사회복지의 가치와 보람, 그리고 행복(Eudaimonia in the Social Work Profession: Social Workers’ Values, Reward, and Happiness)
사회복지 체계의 3대 구성요소 중 하나인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다양한 차원의 사회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클라이언트를 대하는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감정 및 행동은 클라이언트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뿐더러 사회복지의 실행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사회복지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우리사회에서 사회복지사는 희생과 헌신을 당연하게 요구받으며 열악한 근무환경과 근로조건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도록 사회적으로 암묵적 압력을 받아왔으며, 사회복지사 자신의 가치와 보람, 그리고 행복은 이차적으로 여겨 온 것이 현실이다. 사회복지체계가 효과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의 행복, 특히 타인을 돕는 직군에서 즐거움 차원의 행복을 넘어 가치와 보람을 추구하는 유데모니아적(eudaimonic) 행복이 중요한 요소지만, 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아직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복지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복지사의 보람과 가치, 그리고 행복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포커스그룹인터뷰, 전문가에 대한 델파이 조사, 일선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서베이 조사 및 일반 국민에 대한 서베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많은 연구 결과 중 주요한 결과로서, 사회복지사는 업무에서 경험하는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직의 가치를 확인함으로써 일에 대한 만족을 얻고, 국민 행복에 기여한다는 자부심을 얻는 과정 속에서, 사회복지직이 추구하는 목적과 합치하는 유데모니아적 행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 및 사회에 대한 기여, 직무의 성취를 통한 의미, 일을 통해 경험하는 선함의 가치 등 사회복지직이 가지는 특별한 가치와 보람이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유데모니아적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행복한 사회복지사가 전달하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복지의 효과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의 대상인 국민 전체에게 그 행복이 전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사의 행복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근무환경과 사회복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Contents
I. 시작하는 말
II.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와 행복
2. 사회복지의 기능
3. 사회복지전문가의 역할, 가치와 유데모니아
III. 연구 방법
1. 포커스그룹인터뷰
1) 연구참여자 및 조사방법
2) 연구 방법
2. 델파이 조사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연구 방법
3. 양적 설문조사: 사회복지사 대상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측정도구
(1) 국민행복
(2) 인구사회학적 요인
(3) 직무 및 조직 관련 요인
4. 양적 설문조사: 일반 인구 대상
1) 연구참여자와 조사방법
2) 측정도구
IV. 연구결과
1.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1) 행복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점
2) 행복에 대한 일반 국민의 관점
3)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4) FGI 사례: 사례를 통해 살펴본 사회복지와 국민행복
(1) 경제수준
(2) 교육
(3) 고용
(4) 인간관계
(5) 신체건강
(6) 정신건강
2.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복지의 가치
1) 지식, 기술, 가치
2) 사회복지의 가치
3) FGI 사례: 사례를 통해 살펴본 사회복지의 가치
(1) 인간존중
(2) 삶의 질 향상
(3) 사회정의
(4) 클라이언트의 변화
(5) 클라이언트와의 관계
(6) 사회복지사의 자아실현
(7) 평등한 권리와 기회 보장
(8) 공동체로서의 연대감
(9) 나눔활동 실천
3. 사회복지전문가의 유데모니아: 국민행복을 위한 사회복지의 행복-행복척도의 활용
1) 사회복지사와 일반 국민의 행복
2) 유데모니아 척도 타당화
(1)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 사회복지사의 가치와 유데모니아: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1) 변수 및 측정도구
(2) 분석결과
4) 사회복지사의 행복
5) 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 패러다임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