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외 커뮤니케이션학의 가장 커다란 화두는 ‘융합’이다. 학계 내적으로는 방송과 통신 간, TV와 인터넷 등 각종 미디어 간의 융합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학계 외적으로도 다른 학문의 이론과 접근방법을 차용해 연구에 적용하는 융합적 방식을 통한 커뮤니케이션학의 외연 확장이 계속되고 있다.
문화계발(cultivation)이나 의제설정(agenda-setting) 등 전통적 미디어 효과 측정 연구에 속하지 않으며, 문화연구의 흐름에도 속하지 않는 연구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대안적 연구들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할 것인지 현재로는 알 수 없으나 기존 커뮤니케이션학의 경계를 더욱 확장하고 커뮤니케이션학의 생태계를 더 역동적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새로운 연구들에 주목한 한국언론학회는 13개의 대안적 연구 주제들을 선정하고, 해당 주제별로 전문가에게 집필을 의뢰하여 《커뮤니케이션학의 확장: 경계에서 미디어 읽기》를 발간하였다. 이 책의 목표는 커뮤니케이션학의 경계를 확장하는 데 있다. 하지만 인문-사회-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흥미로운 주제들이 전개되므로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도 관심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Contents
머리말 4
제1장 뇌 과학과 커뮤니케이션
1.왜 뇌 과학인가? 21
2.이중처리 이론과 의사결정 24
3.인간 뇌의 구조와 감정 27
4.인간의 판단과정 31
5.감정의 역할 33
6.감정의 전달과 거울 뉴런 38
7.감정적 판단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41
8.미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대한 기대 52
제2장 감정에 대한 기능적 접근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1.감정에 대한 관심 59
2.감정에 대한 과학적 접근 61
3.커뮤니케이션 연구로의 적용 86
4.감정 사용에 대한 제언 92
제3장 취향사회학과 미디어/문화연구
1.취향을 문제화하기 97
2.소비문화 연구의 발전과 취향사회학의 부상 102
3.취향사회학의 주요 이론틀 110
4.취향과 미디어 문화 123
5.새로운 전망을 위하여 131
제4장 기호 현상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1.기호 현상학을 향한 여정 141
2.기호 현상학의 태동과 정립 146
3.기호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미디어 연구의 적용 162
제5장 코드, 인간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텔레마틱 사회
1.인간커뮤니케이션학으로서 코무니콜로기 175
2.담론과 대화의 커뮤니케이션 구조 180
3.세 가지 코드와 인간의 의식 구조 193
4.코드 작동구조로서 미디어 199
5.텔레마틱 사회 204
6.코무니콜로기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210
제6장 커뮤니케이션과 창발(emergence): 집합적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
1.시선의 그물망 215
2.아래로부터의 질서 219
3.복잡계의 정의 225
4.패턴으로서의 정보와 불확실성 231
5.질서, 무질서, 그리고 엔트로피 239
6.전통적 사회과학 방법의 한계 245
7.위치, 위치, 위치! 251
8.집합현상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256
제7장 너와 나, 그리고 사물의 네트워크 바라보기
1.인간은 관계다 265
2.사람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읽기 270
3.네트워크 영향력의 이면 278
4.네트워크의 양적, 질적 표현 285
5.구조와 개체 290
제8장 뉴스 비즈니스 변화와 뉴스생산 프로세스 재구성
1.저널리즘 사회학 연구로서의 뉴스생산 프로세스 분석 295
2.프로세스의 구성 302
3.디지털 환경의 뉴스 비즈니스 310
4.디지털 환경의 뉴스생산 프로세스 재구성 322
5.뉴스생산 프로세스의 후속 연구 제안 329
제9장 문화연구와 도시공간에 관한 사유 그리고 지리학적 상상력의 함의
1.‘공간’을 사유하는 작업들의 함의 338
2.자전적인 기억과 ‘산책자 되기’로 풀어내는 도시공간의 특성 343
3.(도시)공간이라는 문제틀의 부상과 ‘공간적 전환’의 함의들 350
4.문화연구자의 사려 깊은 행보로 가로의 특성과 함의를 풀어내기 367
5.커뮤니케이션학과 비판적 공간연구와의 접점을 모색하기 375
제10장 사이버사회와 커뮤니케이션 연구
1.사이버공간, 관계의 네트워크 385
2.사이버공간과 진화: 가상현실과 사이버공간 모델 진화 389
3.사이버공간의 정체성과 자아구성 396
4.사이버사회의 유대와 공동체 407
5.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확장 413
제11장 ‘생태학’의 은유적 전유와 탐구: 미디어 연구와 생태학의 만남
1.생태학의 은유적 전유 423
2.미디어 생태학의 출현 428
3.환경으로서의 미디어 432
4.적응: 인간 유기체의 확장으로서의 미디어 439
5.종(species)으로서의 미디어: 종(種)간 상호작용과 공진화 444
6.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의 공유와 확장 454
제12장 진화론과 미디어
1.미디어가 진화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463
2.변화의 원리로서의 진화론 468
3.미디어 기술환경의 진화 477
4.현재의 미디어 진화 방향과 생태학적 존재로서의 인간 491
제13장 교호체계로서의 사회, 사회적 체계 작동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1.인간, 동물, 기계 그리고 사회 499
2.체계 개념과 이론의 전개 과정 506
3.현대적 체계이론: 정보, 관찰하는 체계, 자기생산, 작동상의 폐쇄성, 구조적 접속 516
4.사회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524
5.인간-기계-동물을 포괄하는 포스트휴먼 사회체계의 부상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