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과계몽

한국 훈민공론장의 역사적 형성
$28.75
SKU
97889300887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5/30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88930088756
Categories 사회 정치 > 언론학/미디어론
Description
이 책은 구체적으로 크게 3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의 저널리즘은 보수, 진보 언론에 관계없이 왜 애국적인가?”, 둘째, “조선왕조 시기에는 왕권 아래에서, 해방 이후에는 강력한 권위주의 국가 체제 아래에서 성장한 시민사회와 공론장의 특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셋째, “민주화 이후 한국의 공론장은 왜 보통사람들이 말을 나누고 토론하는 장이 아니라, 정치인과 관료, 기업인, 기자와 지식인 등 파워엘리트에 의해 주도되는가?” 등의 질문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에 답하기 위하여 저자는 한?중?일의 공론장을 비교 검토한 후 조선 말기부터 훈민공론장이 형성된 역사와 변화 과정을 세밀하게 추적하였다.
Contents
책머리에 5

제1장 훈민공론장과 서구의 부르주아 공론장 13
1.왜 훈민공론장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가 13
2.훈민공론장의 이론적 구성 30
3.소결 42

제2장 동아시아 맥락에서 본 훈민공론장 - 계몽과 자유, 훈민의 토대 45
1.일본에서 공론장 논의의 전개 45
2.중국 근대 시기 계몽운동과 공론장의 형성 70

제3장 조선조 왕도정치와 훈민공론장의 형성 91
1.한국 유교철학에서 ‘공론’에 대한 논의 92
2.조선조 공론장의 구조와 유형 99
3.조선조 공론장의 주체 117
4.소결: 조선조 훈민적 언론질서의 형성 123

제4장 애국계몽운동과 식민 시기ㆍ독립운동 시기 훈민공론장의 전개 127
1.근대 언론 초기의 훈민공론장과 지사로서의 기자 127
2.지사적 지식인/기자의 사례 138
3.지식인/기자들이 꿈꿨던 이상적 국가와 정치체제의 모습 161
4.해방 이후 훈민공론장에서 기자의 위치: 지사와 전문직 기자 179

제5장 근대화 시기 훈민공론장의 성격 - 훈민저널리즘으로서 〈사상계〉 197
1.훈민저널리즘의 주체로서 장준하와 〈사상계〉 200
2.〈사상계〉에서 훈민적 지식인의 역할인식 203
3.자유주의와 민족주의의 결합으로서 훈민저널리즘 207

제6장 경제근대화 과정에서의 훈육적 동원 - 도구화된 방송 217
1.박정희 정권 시기 방송구조의 형성과 국가(1961~1971): 발전주의 미디어의 형성 219
2.동원형 국가주의의 전개와 확장(1971~1979): 유신체제로의 전환과 방송 규율 강화 235
3.동원형 국가주의의 지속과 재편(1980~1987): 복점형 방송체제 구축과 방송 권력화 252
4.소결 262

제7장 후견적 규율과 순응하는 국민의 구성 - 생활세계 내핍, 순결한 가정 267
1.훈육적 동원에서 후견적 규율로의 이행 269
2.소비생활에 대한 규율 274
3.‘순결한 가정’과 ‘건전한 성윤리’: 가정과 성윤리에 대한 개입과 규율 289
4.소결 305

제8장 헤게모니적 담론정치의 장으로서 훈민공론장 - 민주화 이후 경제위기 뉴스담론을 중심으로 309
1.“샴페인을 너무 빨리 터뜨렸다”: 민주화 이후 헤게모니적 담론정치 311
2.경제위기 담론 구성양식의 변화: 연대기적 기술 317
3.경제위기와 과소비 담론의 접합 334
4.제2근대화론의 담론구성체: “우리도 다시 뛰자”의 담론 347
5.소결 358

제9장 ‘신한국’에서 ‘세계화’까지 - 보수적 담론 동맹과 여론동원의 정치 361
1.문민정부 집권기: 국가주의적 동원에서 헤게모니적 담론정치로 361
2.문민정부 집권기 담론정치의 구성과 변화 365
3.지배담론의 성격과 정치적 지지동원의 양식 386
4.소결: 문민정부 시기 헤게모니적 담론정치와 국가 중심성의 강화 396

제10장 민주화 이후 언론의 구조변동과 훈민공론장의 왜곡 399
1.지배블록의 헤게모니와 언론의 구조변동: 하나의 역사적 관점 401
2.언론산업, 조직, 기자정체성의 위기: 제도와 조직적 수준 419
3.소결 437

제11장 훈민공론장에서 공공성의 의미형성 439
1.신자유주의가 주도한 국가: 국민사회 안에서 언론 공공성의 위상 442
2.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공화주의에서 본 언론의 공공성 446
3.민주화 이후 언론 공공성의 위기 456
4.파워엘리트의 과두지배: 누가 사회적 결정의 내용과 형식을 주도하는가 472
5.소결 478

맺는말 481
참고문헌 489
찾아보기 505
Author
김상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