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이미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진, 회화 등 고정 이미지와 함께 영화나 드라마와 같은 움직이는 이미지의 구조를 분석해야 한다. 제목에서도 나타나듯, 이 책은 영상 이미지의 형식을 중점으로 분석해서 이미지가 어떤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가 논의한다. 무엇보다 한국적 맥락에서 우리가 쉽게 접하는 영상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상 언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Contents
개정판 서문 5
서문 8
1
영상 이미지와 바라봄의 방식
1. 감각과 시지각 18
2. 시각과 영상 24
1) 플라톤의 동굴 24
2) 시각 중심주의 27
3) 이데올로기로서의 이미지 29
4) 시뮬라시옹 30
3. 영상 언어의 특성 34
1) 구술 언어, 문자 언어, 영상 언어 34
2) 영상 언어: 도상성, 지표성, 비결정성 38
4. 영상 이미지의 정서적 관여 41
1) 선망의 대상 41
2) 나르시시즘 42
2
표현의 방식과 시각의 변화
1. 도상해석학 48
2. 풍경과 시선의 변화 54
3. 사진의 재현 60
4. 영화의 시점과 리얼리즘 68
3
이미지의 안과 밖
1. 표상과 이미지 80
2. 은유와 상징 86
3. 이미지의 수사학 93
4. 이미지의 수용 101
4
코드와 시선
1. 영상 언어의 기술적 코드 112
1) 숏의 종류 112
2) 카메라 앵글과 렌즈 116
3) 초점 119
4) 카메라의 움직임과 장면전환 120
2. 영상 텍스트의 코드 122
1) 장르 코드 123
2) 문체의 코드 123
3) 개별 텍스트의 코드 124
4) 상호텍스트적 코드 125
5) 이데올로기적 코드 125
3. 시선과 벡터 126
1) 주체적 시선과 객체적 시선 126
2) 벡터 129
3) 교류적 시선 130
4. 응시 133
1) 영화의 응시 133
2) 제도적 응시 139
5
이미지의 구성
1. 구성의 요소 142
2. 이미지의 배열 147
1) 왼쪽과 오른쪽의 구성 147
2) 위와 아래의 구성 150
3) 중심과 주변의 구성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