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는 역사의 영역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인류가 사회적 관계 속에서 만든 필연의 연속이고 역사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철학적 시각을 바탕으로 동ㆍ서양의 언론사를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근대 이후 한국 언론사를 비판적으로 다루어 긍정 일변도의 기존 언론사 서적과 차별화를 꾀했다. 경험과 실증주의적 측면이 강조되는 현재 미디어 연구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역사 속에 살아 숨 쉬는 미디어 세계를 복원하려는 저자의 필치가 돋보인다.
Contents
머리말
01 미디어와 오디세이
트로이전쟁과 미디어
역사란 무엇인가?
인류역사와 미디어
02 언어의 발생과 문자의 발명, 책의 혁명
언어의 사용과 사유의 시작
문자의 사용
책의 혁명
03 그리스 철학과 미디어
그리스 철학의 이해
존재론
변증법과 원자론의 등장
헬레니즘 시대,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철학
04 동양사상과 커뮤니케이션
중국 고대사와 갑골문자
노자의 사상과 커뮤니케이션
공자의 사상과 커뮤니케이션
맹자의 사상과 커뮤니케이션
중용과 저널리즘의 공정성
05 부르주아 시민혁명과 근대신문의 등장
봉건제사회의 붕괴
절대주의 국가
종교개혁
부르주아 시민혁명
언론자유 사상의 대두
근대신문의 등장
06 자본주의 사회의 언론: 저널리즘의 등장
자본주의의 원리와 전개과정
정론지 시대
진보적 신문들
상업적 대중지의 등장
저널리즘의 성격 형성
07 제국주의와 조선의 근대신문
독점자본과 제국주의
일본의 제국주의 진출
조선의 근대신문
08 일제 식민통치와 친일신문
역사적 배경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창간배경
민족언론의 상품생산 논리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 그리고 조선일보
광고의 문제
민족문화운동의 본질
대일본제국의 동아일보ㆍ조선일보
보론: 방응모와 안재홍
09 미군정과 신탁통치 오보
시대적 상황
신문계의 상황
신탁통치 논의의 전개과정
동아일보의 오보와 그 영향
요약
10 대한민국史와 미디어
들어가며
이승만 정부와 언론
박정희 정권과 언론통제, 출판 저널리즘
신자유주의와 언론지형의 변화
민주화와 언론권력의 시대
11 포스트 저널리즘 시대의 철학
저널리즘의 위기 담론
프래그머티즘의 실체
현상과 본질
언론학의 통섭
위기의 본질
새로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