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에 미디어와 통신, 그리고 컴퓨터와의 융합이 가속되는 상황에서 공영방송의 존재의의와 존재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했다. 과거 케이블TV와 위성방송 등 '다채널'이라는 양적 변화에서 '융합미디어'라는 질적변화에 대한 대응에 대해 중점을 두고 다루었다. 글로벌화, 융합화의 상황에서 공영방송 콘텐츠만의 정체성, 새로운 재원방식, 미디어 서비스 방식 등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최근의 언론, 사회, 정치 일반 이슈 사례와 연계하여 서술하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서론 : 융합미디어 시대의 도전
1. 공영방송의 세 번째 위기
2. 융합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함의
3. 책의 구성
제2장 글로벌ㆍ융합화와 방송의 공적 가치
1. 한미 FTA에 대한 방송영역의 우려
2. 방송영상 관련 자유무역주의의 전개
3. 방송영상 분야 무역협상의 전개와 특성
4. 공적 가치 보호를 위한 한국의 대응
5. 맺음말
제3장 융합미디어 시대의 공영방송 콘텐츠
1. 공영방송 정체성 혼란
2. 공영방송의 독과점 지위 상실
3. 공영방송 콘텐츠의 정체성 변화
4. 공영방송의 증식기 효과
5. 공영방송의 공동체 강화와 다원화 제고 기능
6. 맺음말 : 새 역할 수행을 위한 조건들
제4장 새로운 공공재원 및 서비스 방식 : 경합형 공공방송기금론
1. 공적 재원의 효율성과 투명성 요구
2. 경합형 공공방송기금론의 전개 : 영국의 사례
3. 경합형 공공방송기금의 유형과 평가
4. 맺음말 : 한국적 함의
제5장 융합미디어 시대 공영방송 콘텐츠 성과평가
1. 새로운 공영방송 평가모델의 필요성
2. 공영방송 평가의 배경
3. 공영방송 프로그램 성과 구성요소
4. 평가모델 도출을 위한 사례분석 : 공영방송 프로그램 성과평가
5. 공영방송 프로그램 성과평가모델
6. 맺음말
제6장 융합미디어 시대 공영방송 규제
1. '융합현상'에 대한 '융합규제위원회' 출범의 의미
2. 방송통신위원회 모델의 검토
3. 새로운 규제모델의 검토
4. 맺음말
제7장 결론 : 공영방송에서 공영미디어로
1. 세 가지 차원의 공영방송 차별성
2. 공영방송에서 공영미디어로
3.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