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민속과 연희예술

上古史와 神敎 그리고 이웃나라의 唱導文化를 같이 살피며
$97.75
SKU
978892851751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8/25
Pages/Weight/Size 180*233*50mm
ISBN 9788928517510
Categories 종교 > 불교
Contents
책을 펴내며

들어가며
역사를 알아야 문화가 보인다

서장
1. 불교민속과 민속불교
2. 불교와 신교의 속성
3. 예술 탐구와 연희예술
4. 놀이와 연희예술

01|시간예술과 화생의 원리
1. 종교적 의식은 시간예술
2. 금강경과 환희
3. 판소리의 구조를 연상하며:시작은 아니리로부터
4. 화생의 원리
5. 심우도를 살피며

02|우리 불교와 신교의 발자취
1. 불교
2. 가야와 불교:어산불영魚山佛影

03|신교
1. 다시 찾는 우리 역사
2. 신교와 소도문화

04|소도문화의 흔적을 찾아서
1. 김수로와 묘견공주
2. 소도문화의 전개
3. 고천원 천석굴
4. 팔번신八幡神
5. 제식만능주의

05|신교와 〈구가九歌〉
1. 중국의 신교와 초나라의 〈구가九歌〉
2. 무인舞人은 춤과 꽃으로 혼을 모시는 무사巫師
3. 요란하지 않은 신들

06|고구려 무덤벽화와 신교 그리고 교천郊天
1. 무덤벽화 전시를 보고
2. 교천郊天과 칠성문화

07|신라의 화랑과 신교 그리고 불교
1. 화랑 국선의 대두
2. 소도와 풍류도
3. 단묘壇廟의 시작
4.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의 도래
5. 원효와 사복
6. 화산기華山畿

08|신기신앙?미륵사상과 도참설 그리고 점찰법회
1. 신기神祇신앙
2. 나라奈良조의 황권皇權과 팔번신
3. 토착신이 불교신으로:미륵과 도참설
4. 신통력과 주술

09|창도문화의 전개
1. 중국의 창도문화
2. 민속문학과 불교
3. 일본의 창도문화

10|신라불교와 창도문화
1. 운문과 창도
2. 창도문화로서의 무애가와 향가
3. 법계도를 따라 도는 정대불사頂戴佛事

11|창도문화의 전령 신라가요의 훈향
1. 〈도솔가兜率歌〉
2. 〈도천수관음가禱天手觀音歌〉
3. 〈원왕생가願往生歌〉
4. 〈우적가遇賊歌〉
5. 〈풍요風謠〉
6.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2|불교설화와 연희
1. 의상선묘설화의 변이양상:선묘설화에서 도성사 설화까지
2. 설화의 전이

13|신교의 속신과 부처가 어울리는 처용무
1. 용신 그리고 관음신앙의 연희화
2. 사제무司祭舞로서의 일인무:처용무와 상염무
3. 흑옹黑翁과 백옹白翁의 이인무
4. 음양오행의 오인무

14|전승축하와 사기앙양을 위한 자연발생적 춤
1. 검무의 내력
2. 황창무黃昌舞
3. 항장무項莊舞
4. 검기무劒器舞
5. 연희시演戱詩에 실린 검무 양상
6. 무검무巫劍舞(蹈刀舞)
7. 우리 전통연희의 맥을 이으며

15|불교악무의 전개
1. 불교의 전수와 악무발달
2. 불교행사
3. 궁정과 사원의 역할과 연희공간
4. 일본의 경우
5. 왕과 사원
6. 성속과 사원경계

16|악무 공연의 실재
1. 신과 부처가 보이는 풍경:바라문무婆羅門舞ㆍ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그리고 예상우의무를 살피며
2. 〈바라문무婆羅門舞〉
3. 농바라문弄婆羅門
4. 예상우의무곡霓裳羽衣舞曲
5. 옥수후정화

17|〈예상우의무〉와 백거이白居易

18|신악이 어우러지는 풍경
1. 사선무 그리고 신상제 팔선무
2. 제의와 두들김의 미학

19|중세의 창도문화
1. 이웃나라의 사정
2. 고려
3. 역병疫病과 연희
4. 이규보가 본 고려의 굿 풍경

20|신악神樂(신교)과 기악伎樂(불교)의 자취
1. 고천원高天原과 구지가龜旨歌 그리고 가야 무녀
2. 천신제와 신악
3. 신악神樂과 기악伎樂의 이중적 구조

21|악기樂伎와 기악伎樂 그리고 기악의 원류
1. 악기樂伎와 기악伎樂
2. 기악伎樂의 원류
3. 기악과 세요고
4. 불교에 영입된 힌두교의 신들 그리고 가면
5. 법승사法勝寺 낙성공연회와 동대사東大寺의 개안공양식

22|연화배緣化輩와 창도
-우리 사당패寺黨牌의 원류를 생각하며

23|불곡佛曲의 흐름

24|우란분회盂蘭盆會와 석가탄신과 춤 그리고 성명聲明
1. 우란분회와 석가탄신과 춤
2. 성명聲明과 그 파급
3. 창도문예
4. 수험도

25|화엄?밀교와 그리고 화생

26|창도문화로서의 〈회심곡〉과 〈심청효행록〉
1. 〈월인천강지곡〉을 비롯한 회심가
2. 심청가와 화신의 논리
3. 유불선이 어우러진 〈심청효행록〉

27|화신의 논리로 살펴본 탈놀이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1. 각 장면 살펴보기
1) 사상좌춤
2) 팔먹승무
3) 법고法鼓놀이
4) 사당춤
5) 노장춤
6) 원숭이 등장
7) 취발이 등장
8) 사자춤
9) 미얄할미춤
10) 남강노인
2. 당부의 말씀

28|아시아 불교의식무를 살피기 전에 엿봐야할 것들
1. 방울과 춤
2. 경전독송신앙:불교의례의 밀교화

29|아시아 불교의식무의 발생과 변이양상
1. 신과 불이 있는 풍경
2. 불교의식무
3. 불교의식의 구조와 밀교성
4. 인도:힌두교와 불교?밀교
5. 동남아 불교의 전개 양상
6. 중국의 융합된 불교
7. 티베트의 챰
8. 몽골의 〈후레 챰〉
9. 한국의 작법무
10. 일본의 엔넨延年?슈니에修二會
11. 의식무는 성스럽고 진실한 것의 거울

30|불교민속의 확장

31|21세기 한국 창도문화의 현장
1. 삼회향과 땅설법
2. 대서사시 땅설법의 연희적 양상
3. 중국과 일본의 창도문화
4. 화엄사상과 땅설법
5. 다여스님의 땅설법
6. 신중신앙과 성주신앙

32|〈만석중놀이〉와 〈만석중득도기〉
1. 만석승희曼碩僧戱의 내력과 연희적 구조와 특징
1) 그림자놀이란 용어를 새기며
2) 그림자극과 제의
3) 만석승희의 내력
4) 그림자극과 설서說書
5) 만석승의 정체
6) 1930년대 두 학자가 본 만석중놀이
7) 심우성의 만석중놀이
8) 화청과 만석승희
9) 양질의 작품만이 사람들의 마음에 오래 남는다는 교훈

33|〈만석중득도기〉 엿보기
1. 〈서설〉
2. 화신 만석승의 전개

34|한?중?일 사령의식死靈儀式의 연희 공간과 그 변용
1. 극劇과 비극非劇
2. 윤주의 금산사를 들르면서
3. 일본의 사령의식死靈儀式과 그 변용
4. 오봉 마츠리와 기리코마츠리
5. 동대사東大寺 슈니에修二會의 횃불행사
6. 수륙재의 변용을 위한 제언
7. 악가무로 구성된 한판의 희극戱劇

35|삼화사 수륙재의 경우
1. 우사의 여름꽃
2. 수륙재의 폐해와 변용
3. 수륙재의 구성과 그 변형
4. 악가무樂歌舞와 비교성秘敎性

36|사사악寺社樂

37|시왕十王의 예능화
-연극 〈목련구모〉에서 〈신의 세계〉까지
1. 무속의 불교적 변용현상
2. 오봉과 시아귀
3. 시왕맞이-제주도

38|탑돌이와 창도
1. 월정사의 팔각구층석탑과 희견보살
2.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탑돌이의 공간

39|연등회의 현재화 모습
연등행렬과 뒷풀이 축제(서울의 경우, 2015.5.16.)
1) 앞풀이
2) 본풀이
3) 뒷풀이

나오며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윤광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