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을 구원하는 천신의 사자 야류˙오광대의 '영노'

$42.12
SKU
978892851197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7/30
Pages/Weight/Size 180*235*23mm
ISBN 9788928511976
Categories 인문 > 종교학/신화학
Description
지배권력자의 폭압으로 도탄에 빠진 민중을 구원하기 위해 지상에 내려온 천신의 사자 ‘영노’는 용이 못된 이무기가 아니라 분명한 ‘새’다. 영노에 대한 용관념의 진원지가 된 통영오광대 영노조차 날개 접은 새임을 밝히는 책이다. 영노는 ‘미완의 용’ 즉, 악행을 일삼는 ‘이무기’가 아니라 양반으로 상징되는 권력의 부조리와 악을 퇴치하고, 열심히 살아가는 순박한 민중이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칠성님’으로 지칭되는 ‘하느님’의 명을 받아 이 땅에 내려온 ‘하느님의 사자’로서 민중의 구원자임을 논증하고 있다.
Contents
서문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과 문제제기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영노’의 존재 양상
1. 수영야류
2. 동래야류
3. 김해오광대
4. 통영오광대
5. 고성오광대
6. 가산오광대

제3장
‘영노’의 정체 탐색
1. ‘영노’의 외양 및 동작 특징
2. ‘영노’의 발성적 특징

제4장
‘영노’의 정체는 ‘새鳥’
1. ‘영노’의 외부 특징과 ‘새鳥’요소
2. ‘영노’에 대한 ‘새鳥관념’
3. ‘용龍’.‘이무기’설의 문제점 검토

제5장
‘영노’는 ‘북방천신’의 사자使者
1. ‘영노’는 신이神異한 천상의 존재
2. ‘영노’는 천상의 ‘검은 새黑鳥’
3. ‘북방천신’의 사자使者, 징표 ‘현훈玄?’

제6장
‘북방천신’의 이름-‘칠성七星’
1. ‘영노과장’에 투사된 사회변혁 의지
2. 민란 주동자의 종교적 체험과 징표
3. 민중의 원형적 신앙대상-칠성七星

제7장
‘칠성신앙’ 의례와 ‘영노’의 변신
1. ‘칠성신七星神’ 숭배의 전통
2. ‘평생의례’의 ‘칠성신’과 ‘영노’의 변신

제8장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정승욱
문학박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학사)에서 천체물리학을 중심으로 공부했었다. 이후 소년기부터 흥미를 가졌던 한학에 본격적으로 입문하고 나서 학문적 관심은 자연과학을 넘어 인문학 영역으로 확장되었고,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교육과(석사)를 거쳐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박사)에서 민속학을 위주로 연구하였다. 지금은 민속 관련분야 각계의 전문가들과 뜻을 모아 ‘대동민속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과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상상력을 펼쳐 나가는 연구로 민족문화의 원형을 찾아 밝히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야류?오광대의 영노 연구(박사)’, ‘평생의례에 내재된 칠성신앙 연구(석사)’, ‘야류?오광대 영노과장의 민중종교적 의의’, ‘주술적 기우제의 통합 제의원리 연구’, ‘전통혼례와 상례에 쓰이는 현훈폐백의 의미’, ‘정읍사는 백제 노래인가?’ ‘설날’의 어원 고찰(천문과 역법의 관점으로)’ 등이 있다.
문학박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학사)에서 천체물리학을 중심으로 공부했었다. 이후 소년기부터 흥미를 가졌던 한학에 본격적으로 입문하고 나서 학문적 관심은 자연과학을 넘어 인문학 영역으로 확장되었고,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교육과(석사)를 거쳐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박사)에서 민속학을 위주로 연구하였다. 지금은 민속 관련분야 각계의 전문가들과 뜻을 모아 ‘대동민속문화연구소’를 설립하여, 과학적 논리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상상력을 펼쳐 나가는 연구로 민족문화의 원형을 찾아 밝히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야류?오광대의 영노 연구(박사)’, ‘평생의례에 내재된 칠성신앙 연구(석사)’, ‘야류?오광대 영노과장의 민중종교적 의의’, ‘주술적 기우제의 통합 제의원리 연구’, ‘전통혼례와 상례에 쓰이는 현훈폐백의 의미’, ‘정읍사는 백제 노래인가?’ ‘설날’의 어원 고찰(천문과 역법의 관점으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