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종교, 영화 속으로

$26.57
SKU
97889268981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31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88926898130
Categories 종교 > 종교 일반
Description
“영화를 통해 한국 종교의 유형을 살펴보다!”
체계적 분석으로 날카롭게 제시한 한국 종교영화의 특징과 과제


2020년은 한국영화가 새로운 100년을 시작하는 해이다. 한국영화는 100년의 여정을 지나오면서 질적?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도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종교영화’라는 장르가 아직 체계화되지 못한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아직도 종교영화를 특정 종교에 대한 선교 또는 포교영화로만 이해하려는 인식이 남아있다는 근거이며, 종교영화를 컬트영화와 비슷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영화라는 장르적 특징을 한국 종교영화사 측면에서 다룰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종교영화에 대한 학계의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종교’와 ‘영화’라는 키워드를 조합하여, 한국 종교영화에 대해서 다루었다.

우선 본 저서에서는 한국 종교영화의 유형을 종교전통별 여섯 가지로 분류했다. 한국 종교영화의 유형은 1) 한국 무속영화, 2) 한국 불교영화, 3) 한국 유교영화, 4) 한국 천주교영화, 5) 한국 개신교영화, 6) 한국 신종교영화로 유형화된다. 그리고 종교전통별로 유형화된 한국 종교영화는 내부자와 외부자의 시선으로 채워진 교리?신화?의례, 사회?윤리적 측면의 내용으로 각각 분석했다. 특히 본 저서에는 한국 종교영화 DB 목록이 수록되어 있어 종교영화의 유형을 이해하는 데 더욱 수월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종교영화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아울러 영화를 통해서 한국 종교에 대한 이해를, 한국 종교를 통해서 영화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Contents
서문

1부 한국 종교영화 서술의 이론적 토대

제1장 들어가며: 한국 종교영화의 개념과 유형
1. 연구의 배경
2. 국내외 연구동향
3. 종교영화의 개념
4. 한국 종교영화의 유형
제2장 한국 종교영화의 역사적 전개
1. 해방 이전까지의 한국 종교영화
2. 해방 이후 1950년대의 한국 종교영화
3. 1960~1970년대의 한국 종교영화
4. 1980~1990년대의 한국 종교영화
5. 2000년대 이후의 한국 종교영화

2부 한국 종교영화 각론

제3장 한국 무속영화
1. 갯마을(김수용, 1965)
2. 무녀도(최하원, 1972)
3. 석화촌(정진우, 1972)
4. 초분(이두용, 1977)
5. 을화(변장호, 1979)
6.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이장호, 1987)
7. 그 섬에 가고 싶다(박광수, 1993)
8. 태백산맥(임권택, 1994)
9. 영매(박기복, 2003)
10. 만신(박찬경, 2013)
제4장 한국 불교영화
1. 마음의 고향(윤용규, 1949)
2. 무영탑(신상옥, 1957)
3. 지옥문(이용민, 1962)
4. 석가모니(장일호, 1964)
5. 만다라(임권택, 1981)
6.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배용균, 1989)
7. 아제 아제 바라아제(임권택, 1989)
8. 은행나무 침대(강제규, 1996)
9. 번지점프를 하다(김대승, 2001)
10.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김기덕, 2003)
제5장 한국 유교영화
1. 씨받이(임권택, 1986)
2. 성춘향(신상옥, 1961)
3. 학생부군신위(박철수, 1996)
제6장 한국 천주교영화
1. 구원의 정화(이만흥, 1956)
2. 고종황제와 의사 안중근(전창근, 1959)
3. 새남터의 북소리(최하원, 1972)
4. 초대받은 사람들(최하원, 1981)
5. 오세암(박철수, 1990)
6. 이재수의 난(박광수, 1998)
7. 박쥐(박찬욱, 2009)
8. 울지마 톤즈(구수환, 2010)
9. 피에타(김기덕, 2012)
제7장 한국 개신교영화
1. 유관순(윤봉춘, 1948)
2. 상록수(신상옥, 1961)
3. 사랑의 뿌리(강대진, 1978)
4. 사람의 아들(유현목, 1980)
5. 어둠의 자식들(이장호, 1981)
6. 낮은 데로 임하소서(이장호, 1982)
7. 할렐루야(신승수, 1997)
8. 밀양(이창동, 2007)
9. 소명 하늘의 별(신현원, 2013)
제8장 한국 신종교영화
1. 화평의 길(강대진, 1984)

3부 한국 종교영화 전망

제9장 서구 종교영화의 역사와 원형
1. 예수영화(Jesus Film)의 역사
2. 예수영화의 원형
3. 예수영화의 새로운 양상
제10장 나오며: 한국 종교영화의 특징과 과제
1. 한국 종교영화의 특징
2. 한국 종교영화의 과제

부록: 한국 종교영화 DB 목록
1. 한국 무속영화
2. 한국 불교영화
3. 한국 유교영화
4. 한국 천주교영화
5. 한국 개신교영화
6. 한국 신종교영화
Author
박종수
강남대학교 종교철학과(B.A.)를 졸업하고,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에서 「고구려 고분벽화의 종교적 의미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M.A.)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종교의 대응」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이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강남대학교, 한신대학교, 인천대학교, 우송대학교 등에서 강의한 후,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공저), 『한국종교교단연구-조상의례 편』(공저) 등이 있으며,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주제는 다문화와 종교, 종교와 미디어, 종교와 문화콘텐츠 등이다.
강남대학교 종교철학과(B.A.)를 졸업하고,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에서 「고구려 고분벽화의 종교적 의미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M.A.)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한국종교의 대응」으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이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정보관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강남대학교, 한신대학교, 인천대학교, 우송대학교 등에서 강의한 후,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에서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에게 종교란 무엇인가』(공저), 『한국종교교단연구-조상의례 편』(공저) 등이 있으며, 관심을 갖고 연구하는 주제는 다문화와 종교, 종교와 미디어, 종교와 문화콘텐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