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를 특징짓는 뚜렷한 징표 중의 하나는 ‘욕망의 과잉’이다. 가시성 · 효율성 · 물신성으로 대변되는 자본주의 체계는 질적인 행복을 양적 풍요로 대체하면서 인간을 ‘사물화’(Verdinglichung)의 길로 내몬다. 효율성에 대한 숭배와 물질에 대한 욕망은 한 개인의 힘으로 거부하거나 전복시킬 수 없는 거대한 문명사적 흐름이다. 동일성의 잣대와 정량화된 기준으로는 재단할 수 없는 ‘삶’(Lebens)의 고유한 영역들이 동일성의 잣대에 의해 재단되고 억압받는 데서 현대인의 비극은 탄생한다. 비극적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깊은 산중의 미로에서 탈출하는 일과 마찬가지로, 일단 지형도를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 책은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가 기획한 감성의 인간학 총서 3권이며, 잉 욕망의 덫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념적 지형도를 그려보려는 작업의 일환이다.
Contents
머리말
생태적 미래와 자발적 가난(김형찬)
1. 자연 동화와 생태적 미래
2. 格物?致知를 통한 타자의 이해
3.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도덕성
4. 자연법칙의 실현과 인간의 의지
5. 인간다운 삶과 가난의 자발적 선택
다문화주의 속의 욕망(고현범)
1. 들어가는 말
2. 탈정치화하는 이데올로기로서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
3. 우리는 어떻게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4. 다문화주의 윤리는 가능한가?
5. 맺음말
강요된 교육경쟁과 물화된 자기실현(김철운)
1. 들어가는 말
2. 교육열의 과열과 입시교육의 경쟁
3. 강요된 경쟁교육과 학교교육의 위기
4. 도덕행위 주체의 확립과 학교공동체의 형성
5. 나가는 말
욕망과 폭력(소병일)
1. 들어가는 말
2. 욕망과 폭력의 연관성에 관한 홉스적인 논의 구도와 그 한계
3. 욕망과 현대 사회의 폭력성
4. 결론을 대신하여: 욕망과 폭력의 관계에 관한 새로운 담론의 필요성
토지 불로소득과 분배정의(이승환)
1. 너무도 일상적이고 친숙한 부조리: 부동산
2. 한국 국민경제의 뇌관: 하우스 푸어(house poor)
3. 부동산 투기의 본질: 불로소득
4. 토지 불로소득은 정당한가?
5. 불로소득의 환수, 어떻게 할 것인가?
6. 토지의 공공성과 건강한 자유주의를 위하여
왜곡된 욕망과 정신건강(이진남)
1. 머리말
2. 현대인의 욕망의 특징
3. 왜곡된 욕망의 치료제로서의 심리학과 심리상담의 한계
4. 철학상담과 욕망의 치료
5. 맺음말
맹목적 욕망과 자기인식의 결여(이찬)
1. 이끄는 말
2. 욕망: 후안무치함을 가능하게 하는 필연성
3. 욕망의 맹목성과 자기인식의 결여
4. 욕망의 두 얼굴: 욕망을 욕망으로 극복하기
5. 맺는말: 소통의 새로운 방식을 상상하며
생존지속 욕망에 대한 불교적 검토(조준호)
1. 들어가는 말
2. 뇌사는 완전한 죽음인가
3. 불교의 생사관과 욕망
4. 불교의 죽음 판정기준과 뇌사
5. 마치는 말
생명관리권력과 ‘욕망인의 계보학’(허경)
1. 앎의 의지, 섹슈얼리티와 권력
2. 생명관리권력과 ‘욕망인의 분석’
3. 성 학문과 섹슈얼리티 장치
4. 생명관리권력: 죽음의 권리와 생명에 대한 권력
5. 나가면서: 욕망의 억압에서 쾌락의 활용으로
질주하는 몸의 욕망과 자아의 재귀(홍성민)
1. 들어가는 말
2. 구성되는 몸: 푸코와 보르도의 몸
3. 주시되는 몸: 객체화 신체의식과 유교의 몸 담론
4. 해체되는 몸: 사회적 몸에 대한 장자의 비판
5. 재귀하는 몸: 장자와 유가의 신체미학
6.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