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류가 처한 삶의 조건으로 글로벌화를 주목할 수 있다. 글로벌화는 지구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을 둘러싼 주위 환경을 재인식하도록 영향을 주고 있다. 오늘날 누구나 글로벌 영향력 아래에서 삶의 좌표를 구성해야 할 처지이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도 새로운 비전 설정과 실천 행보를 모색해야 할 상황이다. 이에 저자는 지역교육에 주목하여 이 책을 통해 글로벌 현실 속에서, 학습자들이 지역 주민으로서 건강하게 잘 살아가려면 어떠한 마음상태들을 형성하고 실천해야 하는지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즉, 글로벌 영향력과 직접적으로 조우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역 주민으로서 가져야 할 복합적인 생존 전략을 살펴보았다.
Contents
서문
제1부 이론과 연구방법
01. 시민성의 공간과 정체성 교육의 논리
Ⅰ. 시민성 논의: 공간의 문제설정
Ⅱ. 시민성의 재개념화: ‘정체성의 정치’와 ‘인권의 옹호’라는 테제
Ⅲ. 시민성의 실현 Ⅰ: 지역교육과 정체성의 문제
Ⅳ. 시민성의 실현 Ⅱ: 민족교육과 정체성의 문제
Ⅴ. 결론: 문화 적절성을 고려한 지리교육의 실천
02. 지리교육에서 장소학습의 의의와 접근 방식
Ⅰ. 서론
Ⅱ. 장소학습의 배경: 근대교육의 상대화
Ⅲ. 장소학습의 정의와 목표: 스케일의 장소 이해와 실존적 내부성의 지향
Ⅳ. 장소학습의 실제: 생활공간에서 본 삶의 의미
Ⅴ. 결론
03. 지역교과서 이해를 위한 문화기호학의 접근법
Ⅰ. 연구대상: 정체성 문제로 본 사회과 교육과정 현상
Ⅱ. 분석 준거: 교육의 논리에 따른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설정
Ⅲ. 분석 기법
04. 정체성의 이해와 문화연구의 접근법
Ⅰ. 시민성과 정체성의 문제
Ⅱ. 지역의 재현, 지역교과서 그리고 정체성의 담론
Ⅲ. 이해의 방법론: 문화연구의 문제설정과 비판적 담론분석법
Ⅳ. 연구의 실제: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정체성 담론
Ⅴ. 결론
제2부 사례 연구
05. 지역학습에 있어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Ⅰ. 서론
Ⅱ.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사회공간적 구성
Ⅲ.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6. 역사경관의 재현과 지역교육의 합리성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지역화의 본질과 역사경관의 재현 문제
Ⅲ. 분석대상 및 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07. 서울 지역교과서에서 지도(地圖)의 스케일 재현 방법
Ⅰ. 서론
Ⅱ. 지도(地圖)의 재현과 지역 정체성의 문제
Ⅲ. 분석 대상?방법?과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08.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의미경합의 지리
Ⅰ. 문제의식
Ⅱ. 재현의 페다고지와 경관의 경합
Ⅲ. 지역화의 지향을 둘러싼 의미의 경합
Ⅳ. ‘지역의 얼굴 찾기’를 둘러싼 의미의 경합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