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환경교육이 도입된 지 반세기가 지난 현재,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관련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학교 환경교육의 모습을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환경교육사를 살펴보는 일은 학교 환경교육의 뿌리를 탐구하고 현재 학교 환경교육의 모습을 이해함으로써 현재를 바르게 인식하고, 미래의 환경교육을 전망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환경교육의 학문적 발전에 매우 필요한 일이다.
Contents
저자의 글
PART Ⅰ 환경교육사
1. 환경교육사 의미를 찾다
가. 환경교육 용어의 시작
나. 환경교육 관점의 변화
다.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보편성과 환경교육의 특수성
2. 환경교육사 교육적 의미를 찾다
가. 환경교육사의 교육적 가치
나. 환경교육사의 교육적 함의
PART Ⅱ 시기 구분
1. 시기에 획을 긋다
가. 한국 학교 환경교육의 출발점은 언제인가
나. 환경교과의 독립이 갖는 실질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2. 시기, 어떻게 이름 부를까
가. 환경교육사의 시기명을 결정하는 방법
나. 시기 구분의 준거
다. 시기명을 결정하다
PART Ⅲ 한국 학교 환경교육의 이행
1. 학교 환경교육 여명기(해방 후~1971)
가. 환경교육 여명기를 바라보다
나. 환경교육 여명기로 구분 짓다
* 환경사 column
2. 학교 환경교육의 형성기(1972~1986)
가. 환경교육 형성기를 바라보다
나. 환경교육 형성기로 구분 짓다
* 환경사 column
3. 학교 환경교육의 확산기(1987~1996)
가. 환경교육 확산기를 바라보다
나. 환경교육 확산기로 구분 짓다
* 환경사 column
4. 학교 환경교육의 전환기(1997~현재)
가. 환경교육 전환기를 바라보다
나. 환경교육 전환기로 구분 짓다
* 환경사 column
PART Ⅳ 환경교육을 전망하며
1. 성장 중심의 한국적 환경교육의 패러다임 형성
2. 환경교육의 정체성 논의 활성화
3. 사회비판주의적 패러다임 확산
4. 생태중심주의 패러다임 확산
5. 기후변화 및 에너지 문제의 주요 쟁점화
6. 평화, 환경교육의 핵심으로
PART Ⅴ 환경교육 사례
1. 환경교육사 이렇게 적용하다
가. 환경 및 환경교육의 본성에 대한 이해
나. 환경개념의 이해 및 탐구 과정
다. 환경의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이해
라. 환경학습에 대한 흥미
마. 학생 중심의 환경교육
2. 학교환경교육사 적용 사례
가. 도입 단계
나. 전개 단계
다. 정리 단계
3. 환경교육사를 활용한 환경수업에서 극복해야 할 과제
참고문헌
부록
부록 Ⅰ 학교 환경교육 발전을 위한 건의서
1. 학교 환경교육 강화를 위한 건의서
2. 환경교사 임용 확대 및 학교 환경교육 여건 조성을 위한 건의서
3. 녹색성장사회의 기반이 되는 학교 환경교육 내실화를 위한 건의문
부록 Ⅱ 국내외 환경사 및 환경교육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