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잃은시기 프로연극인으로서 아동문학, 희곡, 연출, 문학 비평 등 문학전반에 걸쳐 활동을 했고, 1946년 월북 뒤에 북한연극의 토대를 마련하고 당정책에 부합한 창작 활동을 보여준 신고송의 삶과 문학을 전기적으로 고찰한다. 또한 신고송에 대한 기초적 문헌을 갈무리하여 그의 삶과 문학의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Contents
1. 신고송의 그늘진 삶과 문학을 찾아서
2. 신고송의 삶과 문학관
1. 소년문사 시절과 교원생활
2. 계급주의 문학관과 전향
3. 광복기 문단 활동과 월북
4. 재북 시기의 문학 활동
3. 초기 동시에 나타난 민족 현실
1. 아동 생활과 순수 동심
1) 호기심과 자연 친화
2) 생활 체험과 유희 정신
2. 민족 현실과 현실주의 동심
1) 식민 현실과 극복의지
2) 계급 대립과 현실 모순
4. 계급주의 문학의 정착과정
1. 계급투쟁과 동시의 전개
1) 적대 계급에 대한 비난과 조롱
2) 계급 현실 인식과 투쟁 의지
2. 계급 대립과 동화의 형식
1) 확대된 환상과 우의적 세계
2) 계급의식 강화와 일기 형식
3. 사회 변혁을 위한 아동극
1) 아동 현실과 계급의식 고취
2) 아동 연극의 대중화와 실천
5. 광복기 희곡문학을 통한 계급 실천
1. 선동극과 혁명 의지
1) 민족의 정체성과 사회주의 건설
2) 무대 실연과 선전·선동
2. 노동 현장극과 계급투쟁
1) 민중 각성과 노동투쟁 지지
2) 극중극 도입과 투쟁 양상
3. 세태 비판극과 대중 계몽
1) 현실 모순과 민중 단결
2) 부왜인의 이중성과 정체 폭로
6. 재북시기 희곡문학과 사회주의 체제 구현
1. 고상한 리얼리즘과 사상 개조
1) 사회주의 이상 현실과 농촌 경리사업
2) 친소 의식과 공산사회 구축
2. 도식주의 극복과 사상의 성숙
1) 변화하는 농촌과 건설 투쟁
2) 농촌협동 경제의 힘
3. 천리마 현실의 반영과 사회주의 사상
1) 사회주의 개혁 실천과 완성
2) 경제적 사회주의
4. 주체사상과 혁명의 정통성
1) 인민대중의 계급투쟁 역사
2) 새로운 공산주의 국가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