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육체와 근대성, 그리고 소설을 주제로 한다. 다시 말해 한국 근대 소설에서 육체가 재현되는 유형과 양상을 바탕으로, 근대 사회의 여러 가지 제도와 기구의 체험이 어떻게 새로운 주체를 만들어 내는가를 밝혀 보려 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광수, 염상섭, 이효석, 김유정, 이상, 이들 이들 다섯 작가를 꼭짓점으로 해서 근대적 육체 담론의 세부적인 면모를 확인해 나간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육체에 대한 다양한 관점, 통제와 유희, 억압과 자유, 욕망과 절제, 교환과 사기, 유혹과 고통의 메커니즘이 서사화되는 풍경들을 보다 정밀하게 그릴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을 통해 우리 근대 소설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1 근대, 육체, 소설
2 근대적 육체 담론의 조직과 전개
1) 생산적 육체 담론
(1) 위생 담론의 조직과 우생학적 육체
(2) 시간표 양육의 확산과 직분-소명의 육체
2) 소비적 육체 담론
(1) 개성의 요구와 취미의 육체
(2) 사치품의 소비 향유와 패션
3 이광수 소설의 훈육적 육체
1) 문명인의 논리와 학생의 육체
(1) 1910년대 신지식층의 학생- 소년의식과 육체
(2) 우애와 동정: 「무정」에 나타난 학생의 육체와 감정 교육_
(3) 「개척자」 속 시간-기계와 연애의 실험
2) ‘손’의 가치 발견과 신여성 육체의 재편
(1) 「재생」에 나타난 신여성의 미모와 정조
(2) 「그 여자의 일생」에 나타난 ‘눈’과 ‘손’의 대립구도
(3) 전촌학교화의 기획과 「흙」의 의미
3) ‘피’의 가시성과 기계적 육체의 이상
(1) 폐병환자의 육체와 흘러넘치는 피의 오염
(2) 「애욕의 피안」에 나타난 냄새의 거부와 애욕의 거세
(3) 「사랑」에 나타난 기계적 육체의 이상
4) 위생과 성실에 입각한 내선일체의 육체
(1) 위생의 정신과 군국의 육체
(2) 청년의 우정과 내선일체의 목소리
4 염상섭 소설의 육체 자본
1) 자본화한 육체의 타산과 개성의 논리
(1) 초기 단편 소설 속 ‘학생’ 육체의 거부와 개성의 요구
(2) 「만세전」에 나타난 타산적 개인과 가출 욕망
(3) 초기 장편소설 속 신여성의 육체와 교환되는 자본
2) 미모의 교환과 연출되는 육체
(1) 「사랑과 죄」에 나타난 신여성의 육체 자본과 합리적 교환으로서의 사랑
(2) 「이심」에 나타난 위장된 육체와 교환의 정당성
3) 소문의 관리와 정체성의 조직
(1) 얼굴(체면)의 발견과 소문의 관리
(2) 「삼대」 연작 속 초보자의 소문 관리와 육체 자본의 파산
(3) 자본주의 사회의 소비 교육과 ‘어른스러움’의 논리
5 이효석 소설의 향유적 육체
1) 취미 향유의 육체와 문명적 감각의 요구
(1) 초기 단편 소설에 나타난 북국 취미
(2) 취미 향유의 육체와 미학화한 생활의 요구
(3) 능금의 철학, 공설시장의 미학
(4) 사치품 소비의 취향과 패션의 가치
2) 섹슈얼리티의 이원성과 ‘야취(野趣)’의 세계
(1) 식욕과 성욕의 구분에 입각한 섹슈얼리티의 재편
(2) 후각의 발견과 야취의 형상화
3) 매너에 의한 정체성의 재배치와 향유적 육체의 이상
(1) 국제인의 매너와 교양인의 육체
(2) 「화분」에 나타난 천재의 미감과 조선인-코스모폴리탄의 육체
(3) 「벽공무한」 속 소비 향유적 육체의 이상
4) ‘먼 것’에 대한 소비 향유와 파시즘의 육체
(1) 야취의 향유와 정복의 관련성
(2) 감각적 세련성과 내선일체의 가능성
(3) 「은은한 빛」에 나타난 골동품 취미와 소비 향유의 육체
7 이상 소설의 소모적 육체
1) 근대 사회 속 경계성의 인식과 절름발이의 알레고리
(1) 「12월 12일」에 나타난 경계성의 육체
(2) 훈육적 육체에 대한 부정과 절름발이의 알레고리
(3) 감시와 역감시의 유희와 분리된 자아의 처벌 욕망
(4) 육체의 해체와 새로운 얼굴의 기획
2) 양육-교화의 재배치와 소모적 육체의 조직
(1) 「지주회시」 속 ‘방’으로의 유폐와 감산의 삶
(2) 「날개」의 부랑자 교화와 박제의식
(3) 「봉별기」의 여성 육체와 비밀의 교환
3) ‘살’의 위장에 대응하는 ‘골편’의 유희
(1) 「단발」에 나타난 신여성의 위장된 육체와 가면
(2) 「동해」와 「실화」 속 여성 정조 비밀 탐색의 놀이와 절망
(3) 「종생기」에 나타난 골편의 위장과 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