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시간에 사회 공부하기

$17.25
SKU
978890108801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08/10/15
Pages/Weight/Size 190*260*20mm
ISBN 9788901088013
Categories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경제
Description
과학-사회 통합 교과 학습을 주도하는 최고의 교양서!

일반적으로 우리는 학교와 사회에서 과학과 사회를 따로 배우고 국사와 세계사를 따로 배운다. 삶을 이루는 여러 분야를 뜯어 놓고 각각의 체계에 따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과별 지식을 우리 삶의 실제 모습에 맞게 통합하여 인식할 때, 비로소 온전한 지식을 얻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한, 사슬처럼 얽혀 있는 분과별 지식의 연결 고리를 드러내는 시도를 통해 21세기가 요구하는 통합적 지식을 추구하는 교양서‘지식의 사슬 시리즈’ 2번째 책이다.

과학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 사회 구성원의 과학적 책임을 되짚어보는이 책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과학의 이론들이 사회적으로 이용된 다양한 예를 접하며 쉽게 사회 분야에 접근하게 하며, 이를 역사적으로 평가하며 현재 우리에게 닥친 과학적 문제를 어떻게 사회적으로 극복해 나가야 하는지 알려준다. 또한 과학의 원리를 자세하게 다루며 과학이 실험실 안의 학문이 아니라 언제나 철학과 사상이 함께하는 사회적 활동이었음을 알 수 있도록 시대 배경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곁들여 설명한다.

이 책의 저자들은 모두 화학과 생물학을 공부한 후, 과학과 사회의 통합적 이해를 위한 과학사회학을 공부하고 있는 전문가들이다. 그들의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현 과학 교과서를 치밀하게 연구하여, 책의 내용을 교과 과정과 연결시켜서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더 깊이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총망라한 과학의 이론과 역사를 교과 학습과 쉽게 연결시키기 위해 1부 물리-화학과 사회, 2부 지구 과학과 사회, 3부 생물과 사회로 구성하였다.
Contents
제1부 물리·화학 시간에 사회 공부하기
01 | 원자론이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났을 때 원자론과 고대 사상
02 | 뉴턴의 사과가 떨어지자 왕권도 떨어지다 만유인력 법칙과 계몽주의
03 | 작은 기계가 일으킨 거대한 문명 증기기관과 산업혁명
04 |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자 일의 흐름이 바뀌다 전기와 근대 문명
05 | 전자기를 이용하여 세계를 지배한 나라 전신과 제국주의
06 | 원자의 핵분열과 인류 최후의 날 원자폭탄과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
07 | 전자기가 만들어내는 이 편한 세상 전동기와 현대 생활
08 | 0과 1의 조합이 빚어낸 무한한 세상 반도체와 정보사회

제2부 지구과학 시간에 사회 공부하기
01 | 지동설이 르네상스를 만났을 때 천체 이론과 사회사상
02 | 지진은 민족성도 바꿀 수 있을까? 지각운동과 사회변동
03 | 석유, 신의 축복인가 불행의 씨앗인가? 화석연료와 인류 문명
04 | 바다의 힘이 인간을 움직인다 바다와 인간 생활
05 | 태풍을 일으키는 나비를 잡아라 날씨와 사회생활

제3부 생물 시간에 사회 공부하기
01 | 생물은 진화한다, 고로 사회도 진화한다? 진화론과 자유주의
02 | 살아남으려면 수많은 변종을 만들어라 세포분열과 다양성
03 | 피임약이 바꿔 놓은 여성의 삶 호르몬 연구와 여성 해방
04 | 히틀러가 멘델을 만났을 때 유전학과 우생학
05 | 줄기세포의 빛과 그림자 체세포 복제와 생명 윤리
Author
강윤재,손향구
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고등학생 시절부터 “과학자는 어떻게 대량살상무기인 핵폭탄을 만들게 되었을까?”라고 고민했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서울대학교 과학사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을, 이후 고려대학교에서 과학기술학을 연구하며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조명하는 다양한 주제를 섭렵했다. 한양대와 충남대 등에서 과학기술학을 주제로 강의해 왔다.
서울대학교 생물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고등학생 시절부터 “과학자는 어떻게 대량살상무기인 핵폭탄을 만들게 되었을까?”라고 고민했고 그 해답을 찾기 위해 서울대학교 과학사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과학철학을, 이후 고려대학교에서 과학기술학을 연구하며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조명하는 다양한 주제를 섭렵했다. 한양대와 충남대 등에서 과학기술학을 주제로 강의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