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민족종교인 종단 대순진리회의 신앙을 근거로 하여 하나의 학문적 체계를 세우고자 기획된 것이다. 대순종학은 종단의 역사만큼이나 비교적 연륜이 짧은 신생학문에 속한다. 1871년에 탄강한 한국 근대의 대종교가 강증산 성사의 종교적 이념을 배경으로 오늘날 수많은 교단이 활동하고 있는 가운데, 대순진리회는 교육사업으로서 종합대학인 대진대학교를 세우고 또한 대순종학과를 창설하여 젊은 교역자를 양성하고 있다. 저자는 본과의 교수로서 종학의 이론을 체계화하고 그 개괄적인 이해를 위해 본서를 출판하였다. 본서를 통하여 저자는 한국종교로서의 대순진리회 신앙을 본격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부에서는 대순종학입문으로서 그 주요 학문적 용어에 대한 정의 및 인접학문 그리고 기본 원전과 이론분야를 간략히 정리하고자 하였다. 제 2부에서는 대순종학의 주요이론으로서, 신앙론, 종단사, 교리론, 수도론, 포덕·교화론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서술하고 있다. 제 3부에서는 대순사상으로서 신관, 인간관, 세계관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대순종학입문
1. 대순종학의 의미
2. 인접학문으로서의 철학과 종교학
3. 대순종학의 원전
4. 대순종학의 주요이론
제2부 대순종학의 주요이론
1장 신앙론
1. 머리말
2. 대순진리회 신앙의 주요명제
3. 구천상제론
4. 천지공사론
5. 해원상생론
6. 전경론
2장 종단사
1. 머리말
2. 구천대원조화주신의 역사적 강림
3. 19세기말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4. 역사적 강증산의 생애와 천지공사
5. 도주 조정산의 생애와 종교활동
6. 도전 박우당의 종통계승과 대순진리회
3장 교리론
1. 머리말
2. 종지론
3. 신조론
4. 목적론
5. 대순진리회 교리의 사상적 특징
4장 수도론
1. 머리말
2. 기도
3. 공부
4. 수련
5. 치성의례
6. 대순진리회 수도의례의 종교적 상징성
5장 포덕·교화론
1. 개요
2. 포덕·교화의 이론적 특질
3. 포덕·교화의 기본요소
제3부 대순사상
1장 신관
1. 신의 개념
2. 다양한 신의 세계
3. 신과 인간의 관계
2장 인간관
1. 인간은 어디에서 왔는가?―천지·신명
2. 인간의 참모습은 무엇인가?―마음
3. 인간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인존
4.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사강령과 삼요체
3장 세계관
1. 선천과 후천
2. 천지공사와 선·후천 교역
3. 후천개벽의 이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