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전편을 이해하기 위한 정확한 번역과 또한 그 과정에서
필자가 들인 노력과 결과물이 오롯이 담겨 있는
이 책을 통해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통의 사상가를 만난다!
동아시아 고전은 역·주·해·소·론이란 과정을 거쳐야 제대로 된 해석이 이루어진다. 역(譯)이란 좁은 의미의 번역인데 동아시아 고전들은 번역만으론 무슨 내용인지 잘 모르기에 주(注)가 필요하다. 주란 모내기할 때 물을 주듯이 번역한 글에도 물을 대주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는다. 물론 역과 주를 통한 내용이라도 여전히 거칠고 딱딱하므로 해석이 뒤따라야 한다. 그래야 내용이 매끈하게 다듬어져서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것이 해(解)이다. 또 해석된 내용이 오늘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밝혀야 고전이 현대에 부활할 수 있으므로 소(疏)의 작업을 필요로 한다. 마지막으로 아무리 훌륭한 내용이라도 비판이 이루어져야 우리들에게 쉽게 다가오므로 논(論)의 과정이 필요하다.
필자가 해와 소에 더해 역과 주까지 책으로 펴낸 데는 첫째, 『장자』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정확한 번역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시중에 나온 장자서는 물론이고, 중국과 일본에서 출판된 장자서조차 번역에 있어 서로 다른 부분들이 많아 번역이 통일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장자』가 다루는 내용이 그만큼 어려운 탓이다. 이에 필자는 정확한 번역을 위해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자부하고, 또 이 노력의 결과를 가감 없이 보여줘야 후학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판단했다. 둘째, 한문을 모르는 세대를 위해 『장자』 번역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그러면 한문을 몰라도 누구든지 『장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어떤 책이든 번역만 정확하면 굳이 원문을 따로 찾아서 볼 필요는 없다.
필자는 동아시아 고전 중에 가장 난해하다는 『장자』를 제대로 풀겠다는 심정으로 그동안 역·주·해·소를 진행해 왔다. 약 10년의 준비 기간과 5년에 걸친 집필 과정을 거쳐 지난해부터 올 초까지 『장자』의 해와 소를 내편, 외편, 잡편의 순으로 출판해 왔다.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장자』의 역과 주를 출판하는 것으로 기나긴 여정을 일단락 지었다.
Contents
머리말
내편
소요유
제물론
양생주
인간세
덕충부
대종사
응제왕
외편
변무
마제
거협
재유
천지
천도
천운
각의
선성
추수
지락
달생
산목
전자방
지북유
잡편
경상초
서무귀
칙양
외물
우언
양왕
도척
설검
어부
열어구
천하
지리산 경상도 쪽 언저리 산청군 생초면이 그의 고향이다. 이곳엔 경북 영양의 주실마을, 전북 임실의 삼계면과 더불어 남한의 삼대 문필봉(文筆峰)이 있다. 고향의 이런 정기를 이어받은 탓인지 대학에선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졸업해선 신문사를 첫 직장으로 택했다. 기자로서 3년여를 보내고서 미국으로 공부하러 떠났다. 미주리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받은 뒤 1985년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에 교수로 부임해 지금까지 재직해 오고 있다. 『禮와 藝: 한국인의 의사소통 사상을 찾아서』, 『노장·공맹 그리고 맥루한까지』, 『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소통의 사상가 장자』 등의 책을 펴냈다.